상당수 개인병원 휴진·진료축소…일부 환자들 불만 토로
전남대병원·조선대병원 교수 50명 외래진료 중단
전국 의사들이 일제히 진료 중단에 나선 18일 광주·전남 대학병원과 개인병원의 상당수 의사도 진료를 중단했다.

전남대병원은 이날 진료가 예정돼 있던 교수 87명 중 약 30%에 달하는 26명이 휴진했다.

조선대병원도 외래 진료를 계획했던 교수 62명 중 38%인 24명이 오전 진료를 중단했다.

조선대병원 휴진 교수 24명 중 12명은 이날 오후에는 진료에 나설 것으로 알려졌다.

이 병원의 경우 당초 10여명 안팎의 의사들만 휴진할 계획이었으나, 전날 저녁 휴진 참여 의사를 밝힌 의사가 갑자기 급증했다.

예약 환자 일정을 미리 조정한 탓에 휴진으로 인한 큰 혼란은 없었지만, 예약 없이 병원을 찾은 일부 외래 환자들이 불만을 토로하기도 했다.

대학병원뿐만 아니라 광주·전남지역 병원과 의원 소속 의사들도 진료 중단에 동참했다.

광주는 지역 전체 의료기관 1천53곳 중 124곳(11.78%)이, 전남은 966곳 중 137곳(14.18%)이 휴진 신고를 했다.

광주시와 전남도는 이날 오전 9시를 기해 전체 병·의원에 업무개시명령을 내리고, 지역보건소와 함께 모든 병원의 진료 여부를 파악하고 있다.

자세한 휴진율은 정부 공식 발표 이전까진 비공개할 방침이다.

광주·전남 개인병원의 휴진 신고율은 전국 평균 4%보다 높은 편으로, 휴진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도 집단행동에 동참하고 있다.

광주의 한 비뇨기과 의원은 대표원장만 휴진하고 다른 의사는 정상 진료했으며, 한 피부과 의원은 휴진 사유를 "기계 고장 탓"이라며 환자 불만을 의식하기도 했다.

입원실을 제외한 전체 휴진을 계획했던 다른 대형병원은 진료 시간 단축으로 집단행동 참여 방식을 바꿨다.

일부 병원급 의료기관도 필수 의료를 제외한 일부 진료를 휴진하기도 했다.

이날 서울에서 열리는 총궐기 대회에 참여하는 광주시의사회 소속 의사는 120명으로, 서울에 가지 못하는 의사들은 이날 오후 광주 무등파크호텔에서 열리는 지역 궐기대회에 참여한다.

전남대병원·조선대병원 교수 50명 외래진료 중단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