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5년까지 전문인력 600명 양성, 연관기업 120곳 육성 목표
경북도, 양자기술산업 인력양성·연구개발 인프라 구축 나선다
경북도가 양자과학기술 산업화 시대에 대비해 인프라 구축과 인력양성 등 생태계 조성에 나선다.

도는 경제·사회·안보 등 유망 산업의 혁신적 변화에 대응하고 미래산업의 게임체인저로 주목받는 양자과학기술 관련 산업을 육성·지원하기 위한 12개 과제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2035년까지 전문인력 600명을 양성하고 연구개발 인프라를 구축해 스타트업 및 연관기업 120곳을 육성한다는 구상이다.

양자기술 확보와 연구 개발한 소재 및 부품·장비 등이 산업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관련 산업 협력체를 운영하고 개방형 연구 인프라와 성능시험 시설을 구축할 방침이다.

또 양자대학원 운영과 융합 엔지니어 양성, 국제협력센터 구축, 교육 프로그램 운영 등을 추진한다.

경북에는 반도체, 이차전지, 바이오·백신 등 지역전략산업과 방위산업 혁신클러스터, 소형모듈원자로(SMR)·바이오 생명·원자력 수소 국가산업단지 등 양자기술을 접목할 수 있는 다양한 산업군이 있다.

또 대학 중심으로 기초·원천 연구 역량을 키워 오고 있으며 가속기 등 대형연구·기초과학 연구시설을 갖췄다.

도는 이러한 강점을 바탕으로 가칭 국립양자과학연구원을 유치해 기술 고도화와 산업화를 촉진하는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양자기술산업 사업화 지원센터와 특화센터치 설치, 창업지원과 연관기업 육성, 클러스터 조성도 추진할 예정이다.

올해 하반기부터는 관련 산업을 체계적으로 육성 및 지원하기 위한 조례를 제정하고 연구용역, 공모사업 대응, 국비 사업 건의 및 예산확보 등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도는 양자과학기술은 양자물리적 특성을 컴퓨팅, 통신, 센싱 등 정보기술에 적용해 초고속 연산, 초신뢰 통신, 초정밀 계측을 가능하게 한다고 설명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양자기술산업은 반도체, 이차전지를 이을 핵심 전략산업이다"며 "지역의 다양한 첨단산업과 연계한 클러스터를 조성해 관련 산업을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