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안산·광명·양평에 '1회용품 없는 특화지구' 5곳 조성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김동연 "미래세대 위해 대한민국 곳곳에 퍼져나가길 기원"
경기도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부천시, 안산시, 광명시, 양평군 등 4개 시군 5곳에 '1회용품 없는 특화지구'를 조성한다.
도는 18일 양평군 세미원에서 부천시, 안산시, 광명시, 양평군과 '1회용품 없는 경기 특화지구 조성사업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2026년까지 3년간 도비 30억원을 투입해 지역 또는 테마 구역별로 특화지구를 정해 다회용기 기반 인프라를 구축하고 1회용품을 사용하지 않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부천시는 가톨릭대, 부천대, 서울신학대, 유한대 등 4개 대학교 캠퍼스와 인근 263개 카페를 중심으로 서포터즈를 구성해 1회용품 사용자제 문화를 확산할 예정이다.
안산시는 다문화거리인 샘골로 먹자골목(263개 점포) 상인회와 협력해 1회용품 없는 거리 만들기를 추진한다.
광명시는 무의공 음식문화거리와 광명사거리 먹자골목 등 2곳(195개 음식점, 2개 카페)에 다회용기 인프라를 설치하고, 1회용품 제로데이 이벤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양평군은 세미원 관광지(63개 음식점, 18개 카페 18개, 6개 편의점)를 중심으로 친환경 탄소중립 테마 관광지구를 육성할 계획이다.
이들 특화지구 내에는 다중이용시설, 축제·행사에 다회용컵을 지원하고 다회용기 대여·반납·세척하는 시스템이 구축될 예정이다.
사업자와 소비자 간 협력관계를 구축하고, 자발적으로 실천하는 사회적 공감대 를 형성하는 것이 이번 사업의 목표다.
협약식에는 김동연 경기도지사, 조용익 부천시장, 박승원 광명시장, 전진선 양평군수, 김대순 안산부시장이 참석했다.
김 지사는 "1회용품을 안 쓰는 행동이 경기도, 대한민국 곳곳에 퍼져나가기를 기원한다"며 "우리 자녀들과 미래 세대가 지속 가능하게 살 수 있으려면 지금부터 함께 힘을 모아 1회용품을 안 쓰고, 재생에너지와 기후변화에 적극 대응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앞으로 신재생에너지를 사용하지 않는 기업들의 수출길이 막히고, 기후위기 대응에 얼마나 빨리 적응하는지에 따라 '기후 디바이드(격차)' 문제가 심각해질 것"이라며 "이런 측면에서 지금 정부의 소극적 기후변화 대응에 큰 유감을 갖고 있다.
한국이 세계시장을 잃는 실수를 저지르고 있다는 말도 있다"고 했다.
/연합뉴스
경기도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부천시, 안산시, 광명시, 양평군 등 4개 시군 5곳에 '1회용품 없는 특화지구'를 조성한다.
도는 18일 양평군 세미원에서 부천시, 안산시, 광명시, 양평군과 '1회용품 없는 경기 특화지구 조성사업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2026년까지 3년간 도비 30억원을 투입해 지역 또는 테마 구역별로 특화지구를 정해 다회용기 기반 인프라를 구축하고 1회용품을 사용하지 않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부천시는 가톨릭대, 부천대, 서울신학대, 유한대 등 4개 대학교 캠퍼스와 인근 263개 카페를 중심으로 서포터즈를 구성해 1회용품 사용자제 문화를 확산할 예정이다.
안산시는 다문화거리인 샘골로 먹자골목(263개 점포) 상인회와 협력해 1회용품 없는 거리 만들기를 추진한다.
광명시는 무의공 음식문화거리와 광명사거리 먹자골목 등 2곳(195개 음식점, 2개 카페)에 다회용기 인프라를 설치하고, 1회용품 제로데이 이벤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양평군은 세미원 관광지(63개 음식점, 18개 카페 18개, 6개 편의점)를 중심으로 친환경 탄소중립 테마 관광지구를 육성할 계획이다.
이들 특화지구 내에는 다중이용시설, 축제·행사에 다회용컵을 지원하고 다회용기 대여·반납·세척하는 시스템이 구축될 예정이다.
사업자와 소비자 간 협력관계를 구축하고, 자발적으로 실천하는 사회적 공감대 를 형성하는 것이 이번 사업의 목표다.
협약식에는 김동연 경기도지사, 조용익 부천시장, 박승원 광명시장, 전진선 양평군수, 김대순 안산부시장이 참석했다.
김 지사는 "1회용품을 안 쓰는 행동이 경기도, 대한민국 곳곳에 퍼져나가기를 기원한다"며 "우리 자녀들과 미래 세대가 지속 가능하게 살 수 있으려면 지금부터 함께 힘을 모아 1회용품을 안 쓰고, 재생에너지와 기후변화에 적극 대응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앞으로 신재생에너지를 사용하지 않는 기업들의 수출길이 막히고, 기후위기 대응에 얼마나 빨리 적응하는지에 따라 '기후 디바이드(격차)' 문제가 심각해질 것"이라며 "이런 측면에서 지금 정부의 소극적 기후변화 대응에 큰 유감을 갖고 있다.
한국이 세계시장을 잃는 실수를 저지르고 있다는 말도 있다"고 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