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또 요소 수출 중단…정부 "국내 차량용 수급 영향 제한적"
정부가 최근 중국의 요소 수출 제한에 나선 데 대해 국내 차량용 요소 수급에 대한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중국발 요소 대란을 거치면서 베트남 등을 중심으로 공급망을 다변화한 결과, 90%에 달했던 중국산 요소 의존도가 올해 10% 선까지 내려갔기 때문이라는 것이 정부의 설명이다.

18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정부는 중국에서 요소의 수출 통관이 지연되고 있다는 사실을 지난 7일 인지한 뒤 10일과 11일 양일에 걸쳐 관계부처와 요소관련 기업이 참가하는 합동 점검회의를 개최해 관련 동향을 점검하고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정부는 지난 2021년 10월 지난해 11월 두 차례에 걸친 중국의 요소수출 제한조치 이후 현재 기업들이 베트남·중동 등 대체수입선을 이미 확보해 충분한 물량을 도입 중이라고 설명했다.

또 중국산 요소 비중은 2021년 83.4%, 2022년 71.7%, 2023년 88.1%에 달했지만, 올해 들어 급속히 낮아졌다.

올해 1~5월 요소 수입 중 중국산의 비중은 13%에 그치고, 중국의 수출 제한에도 탄력적으로 대응 가능하다는 판단이다.

현재 기업과 공공비축 등을 합쳐 3개월분 이상의 차량용 요소가 확보돼 있는 점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이번 중국의 요소 수출제한에 따른 국내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평가된다.

정부 관계자는 "앞으로도 국내 차량용 요소수 수급 상황과 제 3국 요소 수입 동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중국 정부와 원활한 요소 도입 방안을 협의하는 등 요소 수입과 유통 등이 차질 없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해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전민정기자 jmj@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