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영훈 제주특별자치도지사(사진)가 18일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4그린수소글로벌포럼’ 기자간담회에서 제주도의 그린수소 육성 계획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 제공
오영훈 제주특별자치도지사(사진)가 18일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4그린수소글로벌포럼’ 기자간담회에서 제주도의 그린수소 육성 계획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 제공
“앞으로 제주도에선 ‘무탄소’ 감귤이 나올 것입니다.”

오영훈 제주특별자치도지사(사진)는 18일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4그린수소글로벌포럼’ 기자간담회에서 “제주도는 태양광과 풍력, 그린수소까지 세 가지 청정 에너지를 통해 2035년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며 이렇게 말했다. 정부가 목표로 잡고 있는 2050년보다 15년을 앞당긴다는 것이다.

오 지사는 “도전적인 목표지만 제주도에 풍부한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와 그린수소를 결합하면 충분히 가능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그린수소는 풍력 등 무탄소 전력으로 생산된 전기로 물()을 분해해 만들어낸 수소(H)를 의미한다. 제주도는 지난 4월 국내 최초로 그린수소의 생산부터 보급(충전소), 활용(전기버스)까지 가치사슬(밸류체인) 전 과정을 상용화하는데 성공했다.

오 지사는 그린수소 발전을 통해 현재 19%대인 제주도 내 재생에너지 비율이 2035년 70% 이상으로 높아질 수 있을 것이라 전망했다. 오 시장은 “태양광과 풍력은 기상 조건에 따라 전력 생산이 오락가락하는 ‘간헐성’의 한계를 갖고 있다”며 “남는 전력을 수소 생산에 활용해 전력 생산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높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제주도는 현재는 3.3메가와트(MW)규모인 그린수소 생산시설을 2030년까지 50MW로 키울 계획이다. 오 지사는 “이를 통해 제주도 내 시내버스 300대, 청소차 200대를 수소차로 전환할 것”이라며 “감귤, 양계 등 제주도 경제의 10%를 차지하는 농업도 100% 재생에너지 기반으로 바꾸겠다”고 말했다.

오 지사는 “많은 기업들이 RE100(재생에너지 100% 사용) 달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그린수소 생산의 최적지인 제주도에 대한 기업들의 관심은 점점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제주=황정환 기자 j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