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인도, 동남아 등 개발도상국 대학생과 근로자들이 한국, 일본보다 생성형 인공지능(AI)을 더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I 대응률' 인도 77% vs 한국 39%…"개도국이 선도"
18일 딜로이트 그룹이 공개한 ‘아시아·태평양 지역 내 생성형 AI 업무 활용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국가별 생성형 AI 사용자 비율이 가장 높은 나라는 87%를 기록한 인도였다. 동남아가 76%, 대만·싱가포르·중국이 각각 72%였다. 한국 68%, 뉴질랜드 56%, 호주 54% 순이었다. 일본은 39%에 머물렀다. 딜로이트 그룹이 아태 지역 13개국 대학생 2900명과 기업 직원 9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다.
'AI 대응률' 인도 77% vs 한국 39%…"개도국이 선도"
AI 확산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사람의 비율도 인도와 중국, 동남아 지역이 높았다. 생성형 AI 개념을 연구하거나 프로그래밍 기술을 학습하는 사람의 비율이다. 적극 대응 비율도 인도가 77%로 1위였고, 중국과 동남아는 각각 71%, 61%를 기록했다. 한국은 아태 지역 평균(49%)보다 낮은 39%에 그쳤다. 일본은 26%였다.

과거 주요 기술혁명 때 선진국이 주도적으로 기술을 채택하고 활용을 이끌었던 것과는 달라진 양상이다. 2000년엔 한국, 호주 인구의 절반이 인터넷을 썼지만, 중국, 인도, 필리핀에선 전체 인구 중 2% 미만이 인터넷을 활용했다. 클라우드 기술 역시 2000년대 중반 선진국을 중심으로 발전했고 개도국은 10여년 후에야 따라잡기 시작했다. 이런 패턴이 AI 확산 국면에서 뒤집힌 이유는 개도국에 ‘AI 네이티브’ 인구 비율이 더 높기 때문이란 분석이다. 인도 응답자 중 절반가량(46%)은 18~35세 사이였는데, 일본 응답자 중 이 연령대는 30%에 불과했다.

개도국 직원들은 53%가 AI 기술에 큰 관심과 흥미를 보였지만 선진국에선 23%의 응답자만이 관심이 있다고 답했다. 선진국 직원의 36%는 생성형 AI의 불확실성에 대해 우려했는데 개도국에선 이 비율이 12%에 불과했다.

조명수 딜로이트 그룹 파트너는 “개도국이 선진국보다 AI 활용에 앞서가면서 전통적인 ‘기술 계급’ 체계에 상당한 혼란이 발생할 것”이라며 “개도국이 더 이상 노동 비용 절감을 위한 기지가 아닌, 높은 생산성을 갖춘 선도국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했다.

고은이 기자 kok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