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대응률' 인도 77% vs 한국 39%…"개도국이 선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인도, 동남아 등 개발도상국 대학생과 근로자들이 한국, 일본보다 생성형 인공지능(AI)을 더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딜로이트 그룹이 공개한 ‘아시아·태평양 지역 내 생성형 AI 업무 활용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국가별 생성형 AI 사용자 비율이 가장 높은 나라는 87%를 기록한 인도였다. 동남아가 76%, 대만·싱가포르·중국이 각각 72%였다. 한국 68%, 뉴질랜드 56%, 호주 54% 순이었다. 일본은 39%에 머물렀다. 딜로이트 그룹이 아태 지역 13개국 대학생 2900명과 기업 직원 9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다.
AI 확산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사람의 비율도 인도와 중국, 동남아 지역이 높았다. 생성형 AI 개념을 연구하거나 프로그래밍 기술을 학습하는 사람의 비율이다. 적극 대응 비율도 인도가 77%로 1위였고, 중국과 동남아는 각각 71%, 61%를 기록했다. 한국은 아태 지역 평균(49%)보다 낮은 39%에 그쳤다. 일본은 26%였다.
과거 주요 기술혁명 때 선진국이 주도적으로 기술을 채택하고 활용을 이끌었던 것과는 달라진 양상이다. 2000년엔 한국, 호주 인구의 절반이 인터넷을 썼지만, 중국, 인도, 필리핀에선 전체 인구 중 2% 미만이 인터넷을 활용했다. 클라우드 기술 역시 2000년대 중반 선진국을 중심으로 발전했고 개도국은 10여년 후에야 따라잡기 시작했다. 이런 패턴이 AI 확산 국면에서 뒤집힌 이유는 개도국에 ‘AI 네이티브’ 인구 비율이 더 높기 때문이란 분석이다. 인도 응답자 중 절반가량(46%)은 18~35세 사이였는데, 일본 응답자 중 이 연령대는 30%에 불과했다.
개도국 직원들은 53%가 AI 기술에 큰 관심과 흥미를 보였지만 선진국에선 23%의 응답자만이 관심이 있다고 답했다. 선진국 직원의 36%는 생성형 AI의 불확실성에 대해 우려했는데 개도국에선 이 비율이 12%에 불과했다.
조명수 딜로이트 그룹 파트너는 “개도국이 선진국보다 AI 활용에 앞서가면서 전통적인 ‘기술 계급’ 체계에 상당한 혼란이 발생할 것”이라며 “개도국이 더 이상 노동 비용 절감을 위한 기지가 아닌, 높은 생산성을 갖춘 선도국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했다.
고은이 기자 koko@hankyung.com
과거 주요 기술혁명 때 선진국이 주도적으로 기술을 채택하고 활용을 이끌었던 것과는 달라진 양상이다. 2000년엔 한국, 호주 인구의 절반이 인터넷을 썼지만, 중국, 인도, 필리핀에선 전체 인구 중 2% 미만이 인터넷을 활용했다. 클라우드 기술 역시 2000년대 중반 선진국을 중심으로 발전했고 개도국은 10여년 후에야 따라잡기 시작했다. 이런 패턴이 AI 확산 국면에서 뒤집힌 이유는 개도국에 ‘AI 네이티브’ 인구 비율이 더 높기 때문이란 분석이다. 인도 응답자 중 절반가량(46%)은 18~35세 사이였는데, 일본 응답자 중 이 연령대는 30%에 불과했다.
조명수 딜로이트 그룹 파트너는 “개도국이 선진국보다 AI 활용에 앞서가면서 전통적인 ‘기술 계급’ 체계에 상당한 혼란이 발생할 것”이라며 “개도국이 더 이상 노동 비용 절감을 위한 기지가 아닌, 높은 생산성을 갖춘 선도국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했다.
고은이 기자 kok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