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리, '홈플러스 인수설' 보도에 중국 본사 확인 거쳐 입장 발표

중국 쇼핑플랫폼 알리익스프레스가 18일 공식 입장을 통해 홈플러스 인수에 참여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알리익스프레스 코리아는 "최근 알리익스프레스 코리아가 국내 유통 기업과 인수합병 협상을 진행 중이라는 일부 보도에 대한 공식 입장을 전한다"며 "해당 인수합병 논의에 참여하고 있지 않다는 점을 명확히 말씀드린다"고 강조했다.

이어 "알리익스프레스 코리아는 앞으로도 소비자 권익 강화를 최우선으로 고려하며 국내 판매자, 한국 시장과의 상생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입장문은 알리익스프레스 코리아가 냈지만, 알리익스프레스가 소속된 알리바바그룹의 '알리바바 인터내셔널 디지털 커머스 그룹'(AIDC) 수뇌부 확인을 거쳐 배포됐다.

알리익스프레스 "홈플러스 인수 논의 참여하지 않아" 공식 입장
최근 국내 투자은행(IB)업계에서 알리익스프레스가 홈플러스 또는 홈플러스 익스프레스 인수에 나설 것이라는 소문이 흘러나오자 일부 매체가 홈플러스 대주주인 사모펀드(PEF)인 MBK파트너스가 알리와 접촉하는 등 매각 가능성이 있다는 취지의 내용을 보도했다.

유통업계는 최근 이런 상황을 두고 내년이면 MBK파트너스가 7조2천억원을 주고 홈플러스를 인수한 지 10년이 되는 만큼 MBK가 투자금 회수(엑시트)를 위해 홈플러스 매수자를 찾고 있는 과정에서 흘러나온 것으로 분석한다.

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며 이커머스 급부상으로 대형마트의 시장성이 떨어지고, 기존 대형마트들도 점포 효율화에 집중하는 상황이어서 MBK가 홈플러스 매장을 각 지방 중소 마트·식자재 마트에 쪼개 팔거나, 사업 부문별로 매각할 것이란 관측이 나왔다.

실제 MBK는 이달 초 모건스탠리를 매각 주관사로 선정하고 슈퍼마켓 부문인 홈플러스 익스프레스 310여곳부터 매각 작업에 돌입했다.

그러면서 잠재 후보군 10여곳을 접촉한다고 알린 이후 알리익스프레스 관련된 보도가 심심치 않게 나왔다.

알리익스프레스는 줄곧 홈플러스 인수에 관심이 없다고 관련 내용을 부인했지만, 알리와 홈플러스 또는 MBK 인사들이 매각·매수를 위해 접촉했다는 보도가 나오자 알리 측이 이날 공식 입장문을 낸 것이다.

기존 홈플러스 대형마트나 홈플러스 익스프레스는 유동 인구가 많은 시내에 있다.

알리익스프레스 물류센터는 중국산 제품이 항공, 배편으로 들어오는 만큼 평택과 인천·여주·이천 등의 부지가 될 것으로 물류 전문가들은 예상했다.

또 기존 대형마트를 매입해 물류센터로 변경하는 비용보다 처음부터 물류센터 용도로 지어진 대형 창고를 사들이거나 새로 짓는 게 비용 측면에서 효과적인 전략으로 알려졌다.

매장 규모가 작은 홈플러스익스프레스 310여개를 사서 PP센터(픽킹&패킹)로 사용하는 방법도 알리익스프레스가 쿠팡 로켓프레시처럼 신선식품 위주 새벽 배송 사업에 뛰어들지 않는 한 불필요하다고 유통업계 관계자들은 전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