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 분야 13개 공공연구기관, 협의체 구성…협력연구 모색
바이오분야 13개 공공연구기관이 상호 소통 및 협업을 위해 '바이오분야 공공연구기관 협의체'를 구성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8일 서울 노원구 한국원자력의학원에서 국립보건연구원, 국립암센터, 안전성평가연구소,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한국뇌연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식품연구원, 한국원자력의학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한의학연구원, 한국화학연구원 등 13개 기관이 협의체 구성을 위한 공공연구기관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협의체 구성은 개별기관 단위 목표 수립과 분절적 예산 운용 등 칸막이식 운영으로는 첨단바이오 핵심기술을 확보하는데 한계가 있고 국가적 의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한다는 문제의식에서 비롯했다고 과기정통부는 전했다.

협의체에는 과기정통부 유관 기관뿐만 아니라 국립보건연구원, 국립암센터 등 보건복지부 유관 공공연구기관도 참여했으며, 앞으로 지속 확대할 계획이다.

참여 기관은 협의체 활동을 통해 첨단바이오 기술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협력 연구개발사업을 기획하고, 연구 시설과 장비를 공동 활용할 뿐 아니라 핵심인재 육성과 바이오 데이터 공동 생산·활용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 방안을 도출하기로 했다.

또 주요 연구내용 및 연구성과를 공유하며, 정부와 협력해 바이오 분야 미래 의제를 발굴하고 국가 정책 방향을 논의하는 등 싱크탱크 역할도 수행할 방침이다.

기관들은 체결식 이후 분야별 워킹그룹을 구성해 협력 프로젝트 기획과 워크숍 운영 등 세부 운영계획을 논의했다.

참여 기관들은 다음달 워킹그룹별 협력 분야를 결정하고, 연말까지 협력 프로젝트를 도출할 방침이다.

협의체 위원장으로 선출된 서판길 한국뇌연구원 원장은 "바이오 분야 공공연구기관이 서로 소통과 협력을 위한 첫발을 내디뎠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협의체 활동을 통해 공공연구기관이 소임을 다하면서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