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장관 예방서 "러북 교류, 역내 평화·안정 기여하길"
韓中 외교안보대화에서 한국, "푸틴 방북 깊은 우려" 표명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방북길에 오른 날 서울에서 한국과 중국의 고위 외교안보 당국자가 회동했다.

19일 외교부에 따르면 김홍균 제1차관과 중국의 쑨웨이둥(孫衛東) 외교부 부부장(차관)은 전날 개최한 '한중 외교안보대화'에서 양자관계, 한반도 문제, 지역 및 국제정세 등 상호 관심사를 논의했다.

한중 외교안보대화는 양국의 외교부와 국방부가 참여하는 '2+2' 대화 협의체다.

한국은 김 차관을 수석대표로 이승범 국방부 국제정책관이 나섰고 중국은 쑨 부부장과 함께 장바오췬 중앙군사위 국제군사협력판공실 부주임이 대표단을 이뤘다.

한국 측은 회의에서 최근 북한이 탄도미사일, 오물 풍선 살포 및 위성항법장치(GPS) 전파 교란 등 일련의 도발로 한반도 긴장을 고조시키는 가운데 푸틴 대통령의 방북이 이루어지는 데 깊은 우려를 표명했다.

그러면서 푸틴 대통령의 방북이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저해하고 러북간 불법적 군사협력의 강화로 이어져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밝혔다.

한국 측은 아울러 러북간 군사협력 강화에 따른 한반도 긴장 조성은 중국의 이익에도 반하는 만큼, 중국 측이 한반도 평화·안정과 비핵화를 위해 건설적 역할을 해줄 것을 요청했다.

또 탈북민 강제 북송에 대한 국내외 우려를 전달하고, 탈북민들이 강제 북송되지 않고 희망하는 곳으로 갈 수 있도록 중국 정부의 각별한 협조를 당부했다.

중국 측은 이에 대해 "중국의 대(對) 한반도 정책에 변함이 없다"면서 "한반도 문제 해결을 위해 건설적인 역할을 하겠다"고 말했다고 외교부는 전했다.

양측은 이 밖에도 우크라이나 및 중동 정세, 미중관계 등에 대해서도 의견을 교환했다.

양측은 앞으로 외교안보대화를 정례적으로 개최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1.5트랙 대화', '외교차관 전략대화' 등 합의된 다양한 교류·실질협력 사업을 착실히 이행해 나가기로 했다.

한편, 조태열 외교부 장관은 회의에 앞서 쑨 부부장과 장 부주임을 접견한 자리에서 양국이 협력 모멘텀을 잘 유지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조 장관은 아울러 푸틴 대통령의 방북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고, 이에 중국 측은 러북 간 교류가 역내 평화와 안정에 기여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韓中 외교안보대화에서 한국, "푸틴 방북 깊은 우려" 표명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