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가 문제해결 수단' 中러 정상 성명 거론하며 "푸틴, 김정은에 전해야"

[푸틴 방북] 美 "北러 협력 심화 크게 우려…확장억제 노력에 계속 초점"
미국 정부는 18일(현지시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방북한 것과 관련, "우리는 면밀하게 지켜보고 계속 그렇게 할 것"이라고 밝혔다.

카린 장-피에르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백악관 브리핑에서 "우리는 어떤 나라도 푸틴의 침략 전쟁을 돕는 플랫폼을 제공해서는 안 된다고 본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푸틴 대통령의 방북에 대해 "이것은 우리가 한동안 경고해왔던 사안"이라면서 "북한의 대(對)러시아 무기 제공이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상대로 잔인하게 전쟁을 할 수 있도록 도왔다"고 비판했다.

이어 "러시아와 북한간 협력 심화는 한반도에서의 평화와 안정 유지나, 글로벌 비확산 체제 수호,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준수하고 우크라이나 국민을 지지하는 데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크게 우려해야 할 트렌드"라고 말했다.

장-피에르 대변인은 지난달 중러 양국이 정상회담 뒤 발표한 공동성명에서 "정치·외교 수단이 한반도의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유일한 출구임을 거듭 천명한다"고 밝힌 것을 거론하면서 "우리는 이것이 푸틴이 김정은과 대화할 때 전달하는 메시지가 되길 희망한다"고 전했다.

그는 북한이 무기 제공 대가로 러시아로부터 기술 등을 받을 가능성에 대해 "이것(북러 협력)은 양방향"이라면서 "그것도 우리가 분명히 우려하는 사안"이라고 밝혔다.

팻 라이더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북러가 정상회담 계기에 자동 군사개입 내용이 포함된 협정을 체결할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 "북러간 구체적인 협정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겠다"면서 "우리는 역내 안정과 안보를 증진하는 것과 동맹국인 한국 및 일본에 대한 확장억제 노력에 계속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인도·태평양 지역과 한반도에서 미국의 초점은 역내 평화와 안정을 촉진하기 위해 동맹·파트너들과 협력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라이더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폴 러캐머라 주한미군 사령관이 북한의 오물 풍선 등에 대응한 한국 정부의 대북 방송 재개 등에 우려를 표명했다는 일부 언론 보도에 대한 질문에 "주한미군 사령부에 물어보라"라고 말했다.

이어 "한미 양국은 한반도에서의 안보 우려 및 위협에 대응하는 데 있어서 매우 긴밀하게 협력하고 있다"면서 "한미 양국은 오랜 동맹이며 우리는 한국 국민은 물론 인도·태평양 지역의 평화와 안보를 보장하는 데 초점을 맞춰 동맹을 심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