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국 중앙은행 60% "5년 내 금 보유 비중 늘리겠다"
금을 선호하는 중앙은행들…신흥국 이어 선진국들도 매수 행렬
신흥국들에 이어 선진국 중앙은행들도 금 보유를 늘리려 하고 있다.

대신에 달러화 보유는 줄이는 추세다.

18일(현지시간) 산업 진흥단체 세계금협회(WGC)의 연례 설문조사에 따르면 선진국 중앙은행의 60% 가까이가 향후 5년 동안 자산보유고에서 금이 차지하는 비중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작년의 38%보다 증가한 수치다.

당장 내년에 금 보유 비중을 늘리겠다고 답한 선진국 비율은 13%다.

작년의 8%에서 늘어난 것이며, 5년 전 설문조사를 시작한 이래 가장 높은 비율이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주로 신흥국 중앙은행들이 금을 많이 사들였다.

이제 선진국들도 신흥국처럼 금 보유를 늘리는 추세다.

선진국 중앙은행들은 달러화 보유 비중은 줄인다는 입장이다.

56%가 향후 5년 동안 외환보유고에서 달러 비중이 하락할 것이라고 답했다.

지난해의 46%에서 증가했다.

신흥국 중앙은행 중에서는 64%가 이 같은 견해를 밝혀 달러화 비중 축소 경향이 더 강했다.

올해 금값 급등에도 불구하고 이처럼 금 수요가 늘어난 것은 미국이 러시아에 대해 경제제재를 하면서 달러화를 무기화한 이후 각국 중앙은행들이 달러화 비중을 줄이고자 보유 자산 다각화를 추구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WGC의 샤오카이 판 중앙은행 팀장은 파이낸셜타임스(FT)에 "선진국들이 금 비중은 늘리고 달러화 비중은 줄이겠다고 말한다.

올해 이런 경향이 더 심해졌다"고 말했다.

이어 "신흥국들이 금 비중을 줄인다는 뜻이 아니라 선진국들이 신흥국을 따라 금을 적극 사들이려 한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중앙은행들의 금 보유 목적은 금의 장기적 가치와 위기가 닥쳤을 때의 성과, 분산투자 효과 등 때문이다.

각국 중앙은행은 2022년과 2023년 각각 1천t 이상 금 보유량을 늘렸다.

기록적인 매수세가 이어지면서 지난달 금값은 온스당 2천450달러까지 상승했다.

작년 10월 이스라엘과 하마스 분쟁이 시작된 이후 42% 올랐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