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수 경영성적 사상 첫 1위…"영업익 10조원 유일"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작년 대기업집단 총수 경영성적에서 처음으로 1위를 차지했다.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는 88개 대기업 집단 총수의 2023년 경영 실적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9일 밝혔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지난해 그룹 매출, 당기순이익, 고용 3개 항목에서 1위를 지켰다. 삼성의 지난해 그룹 전체 매출 규모는 358조9천158억원, 당기순이익은 43조5천71억원, 고용 인원은 27만8천284명으로 국내 그룹 중 규모가 가장 컸다.

작년 그룹 전체 영업이익 1위는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1위를 차지했다. 국내 계열사 70곳을 둔 현대차그룹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18조259억원으로, 국내 그룹 중 유일하게 10조원을 넘겼다.

현대차그룹 내에서 현대차(6조6천709억원)와 기아(6조3천56억원)가 올린 영업이익 규모만 12조9천766억원에 달했다. 그 외에 현대차그룹은 매출(285조2천336억원), 당기순이익(20조5천149억원), 고용(19만7천727명) 항목에서는 삼성에 이어 2위였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지난해 그룹 매출(200조9천306억원)과 영업이익(3조8천841억원) 2개 항목에서 3위에 올랐다.

특히 지난해 허창수 GS그룹 회장의 경영 성과가 돋보였다. GS그룹의 작년 전체 영업이익은 4조5천109억원으로 현대차그룹에 이어 2위를 기록했다. GS그룹 전체 당기순이익도 3조3천723억원으로 총수가 있는 그룹 중 3위였다.

크래프톤그룹의 장병규 의장은 그룹 전체 영업이익률(42.7%)과 순이익률(38%)에서 각각 1위를 차지했다.

2022년 대비 2023년 그룹 전체 매출 증가율에서는 부동산 개발 등으로 성장한 엠디엠그룹의 문주현 회장이 1위에 올랐다.

문 회장은 2022년 7천558억원이던 그룹 매출을 지난해 1조8천413억원으로 143.6% 늘렸다. 특히 계열사 중 ㈜엠디엠 매출이 131억원에서 8천814억원으로 급증했다.

그룹 전체 영업이익 증가율은 장영신 애경그룹 회장(1천65.4%), 순이익 증가율은 유경선 유진그룹 회장(3천612.4%)이 각각 1위였다.

(사진=연합뉴스)


김현경기자 khkkim@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