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마켓 대표에 정형권 전 알리바바코리아 총괄·SSG닷컴 대표에 최훈학 전무 내정
만성 실적 위기 이커머스 계열 인적 쇄신·구조개혁 본격화

취임 100일을 맞은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이 만성 적자에 허덕이는 전자상거래 부문 계열사의 인적 쇄신과 구조 개혁에 착수했다.

신세계그룹은 G마켓을 이끌 새 대표에 정형권 전 알리바바코리아 총괄을 영입했다고 19일 밝혔다.

정 신임 대표는 알리바바코리아 총괄 겸 알리페이 유럽·중동·코리아 대표를 지냈고 골드만삭스, 크레디트스위스 등을 거쳐 쿠팡 재무 임원으로도 일했다.

투자 부문과 이커머스, 핀테크 업계를 두루 거친 재무 전문가인 만큼 G마켓 체질 개선과 수익성에 기반한 균형 있는 성장의 토대를 구축할 것으로 신세계그룹 측은 기대했다.

정용진, G마켓 대표에 알리바바 출신 영입…SSG닷컴 대표도 교체
신세계는 또 이들 계열사 조직 개편도 단행했다.

개발자 조직인 테크(Tech) 본부를 설치해 인공지능(AI)을 비롯해 미래 성장을 견인할 기술 분야 역량을 강화할 계획이다.

본부장직은 쿠팡 출신의 오참 상무를 영입해 맡겼다.

최고제품책임자(CPO)에 해당하는 PX본부장에는 네이버 출신인 김정우 상무를 데려와 앉혔다.

이번 인사는 외부 인력을 대거 영입한 게 특징이다.

조직 전반의 긴장감을 높이고 혁신에 박차를 가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SSG닷컴도 대표와 핵심 임원을 모두 교체했다.

신임 대표에는 최춘학 현 영업본부장(전무)이 내정됐다.

그로서리 및 물류 경쟁력 강화에 힘써온 최 전무가 대표를 겸직하는 게 효과적이라고 판단했다고 그룹 측은 설명했다.

D/I(데이터·인프라) 본부장직은 이마트 D/T(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총괄을 맡고 있던 안종훈 상무가 맡았다.

SSG닷컴은 또 기존 D/I, 영업, 마케팅, 지원 등 4개 본부 체제를 D/I와 영업 2개로 줄였다.

마케팅본부는 영업본부와 통합했고 지원본부 부서는 대표 직속으로 뒀다.

그동안 G마켓을 이끌어온 전항일 대표와 이인영 SSG닷컴 대표를 비롯한 기존 임원은 경영 2선으로 물러나 자문 역할을 맡게 된다.

신세계그룹은 "CJ그룹과의 협업을 통한 플랫폼 물류 시스템 정비에 이어 주요 핵심 임원을 동시에 교체하는 완전한 변화를 선택함으로써 잠시 주춤하던 온라인 사업의 새로운 성장에 시동을 걸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온라인 플랫폼 재도약을 위한 혁신 드라이브는 여전히 진행 중"이라며 "대대적인 변화를 기점으로 대한민국 최고의 유통 기업이자 시장 선도자로서의 입지를 더 공고히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신세계 계열사 대표 원포인트 인사는 지난 4월 신세계건설에 이어 두 번째다.

지난 3월 8일 정용진 회장이 승진 이후 약 100일 만에 계열사 CEO 3명이 물갈이된 것이다.

이번 인사는 장기간 실적 부진에 시달리는 전자상거래 사업 부문에 변화가 필요하다는 그룹 내부 공감대 속에 이뤄졌다.

전 대표와 이 대표는 2021년 G마켓이 신세계그룹에 매각될 당시 각각 G마켓 대표와 지원본부장으로 있던 인물로 매각 작업을 주도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용진, G마켓 대표에 알리바바 출신 영입…SSG닷컴 대표도 교체
이들은 당시 신세계에 거의 전무했던 이커머스 전문가로서의 특수성을 인정받아 인수합병 뒤에도 회사를 떠나지 않았다.

전 대표는 G마켓 대표직을 그대로 유지했고 이 대표는 G마켓 지원본부장을 하다가 지난해 3월 SSG닷컴 공동대표로 승진했다.

이어 그해 9월 그룹 정기인사에서 단독 대표가 됐다.

이들은 지난해 9월 신세계그룹 계열사 대표 40%가 물갈이되는 초유의 쇄신 인사 때도 나란히 살아남아 주목받았다.

그룹에서 마땅한 대체 자원을 찾지 못하는 가운데 이들에게 다시 한번 기회를 준 것이라는 평가가 나왔다.

하지만 쿠팡의 장악력 확대와 중국계 이커머스 플랫폼인 알리익스프레스·테무의 공격적인 시장 침투 속에 G마켓과 SSG닷컴은 좀처럼 실적 반등의 계기를 찾지 못했다.

SSG닷컴은 2018년 법인 설립 이래 지난해까지 5년간 매년 영업이익 적자를 기록해 누적 손실만 4천500억원이 넘는다.

지난해에는 출범 후 처음으로 매출이 감소하기도 했다.

G마켓도 신세계에 인수된 이래 2년 연속 영업이익 적자를 봤다.

올해 1분기까지 포함하면 누적 손실액은 1천억원을 넘는다.

업계 한 관계자는 "정 회장이 더는 기다려주기 어렵다고 보고 위기 타개를 위한 충격 요법으로 대대적인 인적 쇄신 카드를 꺼내 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또 다른 인사는 "정 회장은 이커머스 부문에서 물류와 리더십에 변화가 필요하다고 생각해온 것으로 안다"며 "물류는 CJ그룹과의 동맹 관계 구축으로 해소했고 곧바로 리더 교체를 단행한 것"이라고 짚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