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청 후 첫 참가 국제회의…존 리 "각국 임무 정보·데이터 공유 중요"
우주항공청, '지속 가능한 달 활동' 위한 유엔 논의 참여
우주항공청이 지난달 27일 개청 이후 처음으로 국제회의에 참석해 지속 가능한 달 활동을 위한 국제 규범 마련을 위한 논의에 참여했다.

우주항공청은 18일(현지 시각) 오스트리아 빈에서 개최된 '유엔 지속 가능한 달 활동 콘퍼런스'에 존 리 우주항공임무본부장을 수석대표로 참석해 패널토론 등에 참여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회의는 세계적으로 달 탐사 활동이 급증하며 임무 간 상호간섭과 충돌 가능성이 커지면서, 각국의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달 활동을 위한 국제 공조를 논의하고자 유엔우주국(UNOOSA)이 미국 우주항공국(NASA)과 러시아 로스코스모스, 독일 우주청, 프랑스 국립우주연구센터, 중국 국가항천국 등 13개국 우주 기관을 초청해 개최됐다.

우리나라는 2022년 달 궤도선 다누리를 발사하는 등 달 탐사 활동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어 이번 회의에 초청됐다고 우주청은 전했다.

존 리 본부장은 미국, 중국, 독일, 룩셈부르크 등과 패널 토론에 참여해 임무 정보에 대한 공유와 과학 데이터 공개의 중요성을 달 탐사 활동의 핵심 원칙으로 언급했다.

그는 "다누리를 운영하는 과정에서 미국 달 궤도선(LRO), 인도 달 궤도선(챤드라얀-2), 일본 달 착륙선(슬림)과 충돌회피 기동을 각각 1번씩 수행한 경험이 있다"며 "달 탐사에 나서는 국가 간의 임무 간섭과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각자의 임무에 대한 사전 정보 공유가 중요하다"고 밝혔다.

또 "달 탐사 활동은 인류 전체에 기여해야 하므로, 탐사국들은 탐사 활동으로 획득한 과학 데이터를 적극적으로 공개해야 한다"고 말했다.

우주청은 개청 이후 처음 참여한 국제회의에서 각국 우주 기관들에 우주청을 홍보하기 위해 '개청 기념 오찬 리셉션'도 진행했다.

리셉션에는 발터 펠처 독일 우주청장, 살렘 알 쿠바이시 아랍에미리트 우주청장, 카렌 펠드스타인 미국 나사 국제국장 등 각국 우주기관 주요 인사들이 참여했다.

존 리 본부장은 "한국이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달 활동 관련 국제 질서 확립을 위한 국제 공조 활동에 적극 참여하겠다"며 "우주항공청이 국제 우주 커뮤니티의 영향력 있는 일원이 되도록 다양한 국가들과 국제협력을 본격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