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깨끗·저렴·안정적 전기공급에 원전 필요"…야당대표 지지율, 총리 웃돌아
호주 야당, 원전 2기 건설 공약…후보지도 7곳 공개
호주 야당이 내년 총선을 앞두고 전력난 극복 방법으로 원자력 발전소 도입을 약속했다.

19일(현지시간) 호주 ABC 방송 등에 따르면 피터 더튼 자유당 대표는 이날 내년 총선에서 승리해 집권할 경우 2037년까지 2기, 장기적으론 7기의 원전을 건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호주는 전 세계 우라늄 매장량의 40%를 보유한 세계 최대 매장 국가지만 1998년 '원전 모라토리엄(금지정책)' 정책을 도입하며 원전을 금지하고 있다.

더튼 대표는 원전 부지는 석탄 화력 발전소 부지 중에서 선정될 예정이라며 퀸즐랜드주와 뉴사우스웨일스(NSW)주에 각 2곳, 빅토리아주,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주에 각 1곳 등 7곳을 예비 부지로 꼽았다.

그는 "정부가 목적에 맞지 않는 재생 에너지 단독 정책만 쓰는 것을 알고 있다"며 "재생 에너지만으로 연중무휴 24시간 전기를 돌릴 수 있는 나라는 전 세계 어디에도 없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태양광과 풍력 발전을 늘리려는 노동당 정부의 에너지 정책이 더 비싼 전기요금과 전력 공급난을 초래하고 있다며 '더 깨끗하고 더 저렴하고 안정적인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원전과 가스 발전소도 전력 발생원의 일부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호주 노동당 정부는 2030년까지 탄소 배출량을 2005년 대비 43% 수준으로 줄이겠다는 기후 법안을 2022년 통과시켰다.

이를 위해 2038년까지 호주 내 석탄 발전소를 모두 폐쇄하고, 2030년까지 태양광과 풍력 발전소 용량을 지금의 3배 수준으로 늘리기로 했다.

하지만 줄어드는 석탄 발전소 발전량에 비해 재생 에너지 발전소 건설이 더뎌 대규모 정전이 발생하는 등 전력난을 겪고 있으며 시민들은 높은 전기 요금을 감당하고 있다.

이 때문에 내년 5월 총선을 앞두고 야당인 자유당과 국민당 연합은 최근 노동당 정부의 탄소 배출 감축 목표를 현실에 맞게 수정하겠다고 발표했으며, 이날 원전 도입까지 약속하게 됐다.

이런 야당 공세는 어느 정도 효과를 보는 분위기다.

지난 16일 시드니모닝헤럴드가 발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더튼 대표의 지지율은 36%를 기록, 지난 5월 조사 때보다 4%포인트 올랐다.

반면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35%)의 지지율은 지난달 조사 때보다 5%포인트 하락, 처음으로 더튼 대표 지지율보다 낮았다.

또 자유당과 국민당 연합의 지지율은 36%로 노동당 지지율(28%)을 웃돌았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