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도의사회장들 휴진 소식 처음 듣고 당황…동료들은 장기판 졸 아냐"
의협의 '범의료계 대책위' 구성에 전공의 대표는 '불참' 선언 삐그덕
의협 '무기한 휴진' 선언에 의사들 '어리둥절'…"사전에 못들어"(종합2보)
이달 27일부터 무기한 휴진에 들어가겠다는 대한의사협회(의협)의 선언을 두고 의사 사회 내부에서 사전에 듣지 못했다며 당황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또 의협이 구성하겠다는 범의료계 대책위원회(범대위)에 전공의 대표가 불참하기로 밝히면서 의료계에 다시 한번 불협화음이 연출됐다.

의협과 연석회의 중인 의대교수 단체들은 의협과 휴진에 관해 논의하겠다는 방침이다.

19일 의료계에 따르면 경기도의사회 이동욱 회장은 이날 '27일 무기한 휴진 발표에 대하여'라는 입장문을 냈다.

이 회장은 입장문에서 "우선 27일 무기한 휴진이라는 발표를 (전국의사총궐기대회) 집회 현장에서 갑자기 듣고, 당황스럽게 해서 대단히 죄송하다"며 "저를 포함한 16개 광역시도 회장들도 임현택 의협회장이 여의도 집회에서 무기한 휴진을 발표할 때 처음 들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무기한 휴진의 실현 가능성과 그 내용의 적절성에 관한 찬반은 별론으로 하고, 의사결정 회무 방식과 절차에 치명적 문제가 있다"며 "시도회장들이나 회원들은 존중받고 함께 해야 할 동료이지, 임 회장의 장기판 졸이 아니다"고 비판했다.

의협 '무기한 휴진' 선언에 의사들 '어리둥절'…"사전에 못들어"(종합2보)
의대 교수들도 마찬가지 반응이었다.

방재승 서울대 의대 교수 비상대책위원회 투쟁위원장은 "어제 (총궐기대회 현장에서) 뙤약볕에서 처음 들었다"며 "옆에 앉아계시던 전국의과대학교수 비상대책위원회(전의비) 안석균 교수님과 서로 놀라서 쳐다봤다"고 당시 상황을 전했다.

이어 "(또다른 교수단체인)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전의교협)도 모르셨을 것 같다"며 "오늘 오후 열리는 연석회의에 가서 우리도 참여해야 하는 건지 계획을 들어봐야겠다"고 말했다.

전의교협 측도 "무기한 휴진은 어제 처음 들었다"며 "오늘 논의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무기한 휴진 소식에 개원가도 술렁이고 있다.

한 개원의는 연합뉴스에 "무기한 휴진은 사전에 논의된 바 없고, 결정되지도 않았다"며 "개원가 내부에서는 '무기한 휴진이 맞는건가', '그게 될까?' 이런 논란이 나오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임 회장에게는 미안하지만, 의협은 회장이 하자고 하면 그대로 가는 구조의 단체가 아니다"며 "개인적으로는 개원가의 항의성 휴진은 제한적이어야 하고, 휴진한다면 사전에 의사 회원들하고 논의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의협 '무기한 휴진' 선언에 의사들 '어리둥절'…"사전에 못들어"(종합2보)
앞서 의협 임현택 회장은 전날 연 총궐기대회에서 27일부터 무기한 휴진하기로 선언했다.

의협은 이와 함께 의대교수 단체 등이 참여하는 범대위를 구성해 대정부 투쟁 방안을 논의하기로 했다.

의협은 이날 오후 7시에는 대한의학회, 전의교협, 전의비 등과 연석회의를 열고 범대위 구성 등 향후 대책을 논의한다.

의협이 범대위 공동위원장 자리를 제안한 전공의 대표는 의협과 마찰을 빚고 있다.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오전 자신의 페이스북에 "범대위 공동위원장에 대해서는 들은 바 없다"며 "현재 상황에서 협의체를 구성하더라도 대전협은 참여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지속해서 표명했다"고 적었다.

박 위원장은 "전날 발표한 무기한 휴진 역시 의협 대의원회, 시도의사회와 상의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발표한 것으로 파악했다"며 "임 회장은 언론 등 대외적 입장 표명을 조금 더 신중하게 하길 바란다"고 직격했다.

박 위원장은 일전에도 몇 차례 임 회장과 불편한 관계를 드러냈다.

최근에는 박 위원장이 "임현택 회장은 도대체 뭐 하는 사람이죠? 뭘 자꾸 본인이 중심이라는 것인지"라는 글을 남기자 임 회장은 한 온라인 단체 대화방에 "의협이 전공의 문제에 신경 끄고 손 뗄까요? 그거 바란다면 의협도 더 이상 개입하고 싶지 않습니다"고 남겼다.

의협 '무기한 휴진' 선언에 의사들 '어리둥절'…"사전에 못들어"(종합2보)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