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현대건설
사진=현대건설
현대건설이 국내 기업·공공기관과 협력해 수소 생산기지 구축에 나선다.

현대건설은 19일 서울 중구에 위치한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 방사선보건원에서 한수원 및 삼성물산, 두산에너빌리티, 한국전력기술, 한국가스안전공사, 한국가스기술공사, 전력거래소와 함께 ‘원자력 청정수소 생산·활용 사업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국내 기업과 공공기관이 원자력 청정수소 생산 실증사업을 수행하고, 사업화를 추진하기 위해 체결됐다. 협약을 계기로 △원자력 청정수소 생산 대용량 상용 플랜트 구축·운영 △국내 및 해외 수출형 원자력 청정수소 생산 사업모델 개발 △국내 청정수소 생산·활용을 위한 사업 기반 조성 등에 협력할 예정이다.

한수원이 주관하는 ‘재생에너지 조화형 무탄소 전력 연계 저온 수전해 수소 생산 및 운영 실증사업’은 산업통상자원부가 지원하는 2024 제1차 에너지기술개발사업의 일환이다. 국내 최초로 원전 전력을 사용하는 수전해 수소 생산 플랜트를 실증하여 향후 대규모 수소를 안정적으로 생산하기 위해 추진되고 있다.

10MW급 규모의 저온 수전해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루 4톤 이상의 청정수소 생산 및 저장·출하가 가능한 인프라를 2027년까지 구축할 계획이다. 현대건설은 원자력 연계 전력시스템과 용수공급·압축공기·질소공급 등을 위한 공용설비의 설계와 구축을 담당한다.

현대건설은 현대차그룹 HTWO 사업 전개에 따른 협업체계를 강화하고, 미래 핵심 에너지원인 수소 분야 역량 확보에 지속적으로 힘쓰고 있다. 전북 부안 수전해 기반 수소생산기지의 총괄설계를 비롯해 보령 청정수소사업 FEED설계, 제주 12.5㎿ 그린수소 실증플랜트 개념설계 등을 수행했다. 유기성 폐기물에서 추출한 바이오가스를 통해 고순도 수소를 생산하는 자원순환형 수소 생산 사업에도 집중하고 있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초기 기술력 확보가 중요한 수소산업을 선제적으로 이끌기 위해 유수의 기업·기관과 협력하여 기술 확보 및 인프라 구축에 앞장서고 있다"며 "이번 사업의 성공적 수행을 위해 현대건설이 보유한 원자력·SMR, 수소 분야의 글로벌 역량을 결집할 것"이라고 말했다.

오세성 한경닷컴 기자 ses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