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회담 발언서 '전략적 밀착' 한목소리…김정은 "러시아 무조건적 지지"
푸틴 "美 패권주의와 싸움…다음 정상회담 모스크바서 열리길 희망"
김정은 "북러관계 최고 전성기", 푸틴 "장기관계 토대 새 문서"(종합2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9일 평양 금수산 영빈관에서 정상회담을 하고 급변하는 국제정세 속에서 전략적 협력 의지를 한 목소리로 강조했다.

외신에 공개된 북러 확대정상회담 모두발언 영상을 보면 김 위원장은 "앞으로 어떤 복잡다난한 국제정세 속에서도 러시아 지도부와 러시아와의 전략적 소통을 더욱 강화하고 긴밀히 하면서 러시아의 모든 정책들을 변함없이 무조건적으로 지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북·러 관계에 대해 "지난 세기 조·소관계 시절과도 대비할 수 없는 최고조기를 맞이하고 있다"며 푸틴 대통령의 방북을 기화로 "두 나라 인민들의 열화와 같은 우정과 민심적 기초도 더욱 굳게 다져질 것"이라고 자신했다.

김 위원장은 양국관계가 "사상 최고 전성기에 들어서고 있는 시점"이라며 푸틴 대통령의 이번 방북이 "세계 평화와 안전을 위해서 가장 의의있는 전략적인 행보"라고 평가하기도 했다.

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는 세계의 전략적 안정과 균형을 유지하는 데서 강력한 러시아 연방이 맡고 있는 중요한 사명과 역할에 대해서 평가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자기 주권과 안전이익, 영토완정을 수호하기 위하여 우크라이나에서의 특수군사작전(전쟁)을 수행하고 있는 러시아 정부와 군대와 인민의 투쟁에 전적인 지지와 굳은 연대성을 표시한다"며 러시아에 대한 전적인 지지를 거듭 확인했다.

푸틴 대통령은 모두발언에서 "우크라이나 정책을 포함해 러시아 정책에 대한 (북한의) 일관되고 확고한 지지에 감사한다"고 화답했다.

그는 "러시아는 수십년간 미국과 그 위성국의 패권적, 제국주의 정책에 맞서 싸우고 있다"며 "양국 간 소통은 평등과 상호 이익에 관한 존중을 기반으로 한다"고 평가했다.

푸틴 대통령은 "작년 김 위원장의 러시아 방문 결과로 우리는 오늘날 양국 관계 구축에 있어 의미 있는 진전을 이뤘다"며 "오늘, 장기적으로 양국 관계의 기초가 될 새로운 기본 문서가 준비돼 있다"고 말했다.

그는 김 위원장과의 회담 성공을 확신한다며, 차기 북러 정상회담은 모스크바에서 열리길 기대한다고 초청 의사를 밝혔다.

푸틴 대통령은 이와 함께 "우리 선조들의 업적은 오늘날 양국 관계 발전의 좋은 기반이 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오전 2시께 평양에 도착한 푸틴 대통령은 오후 김일성 광장에서 열린 공식 환영식에 참석한 뒤 금수산 영빈관에서 김 위원장과 확대 정상회담을 시작했다.

2000년 이후 24년 만의 북한 방문이다.

우크라이나 전쟁과 국제사회의 진영화 속에서 북러의 밀착 행보는 미국 주도의 대북제재 체제는 물론 북중·중러관계, 우크라이나 전쟁 판도 등 국제정세 흐름에 다각도의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이날 두 정상의 발언도 북러 협력의 전략적 의미와 양국 공조의 긴밀함을 강조하는 차원으로 해석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