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먼라이츠워치 보고서…"행복·단결·화해 등 공산당 이데올로기 대거 반영"
인권단체 "中, 위구르마을 600여곳 지명 변경…전통문화 말살"
중국 당국이 신장(新疆)위구르자치구 소재 마을 600여개 명칭을 공산당 이데올로기를 반영하는 방식으로 변경했다고 국제 인권단체 휴먼라이츠워치(HRW)가 18일(현지시간) 주장했다.

이 단체는 이날 홈페이지에 공개한 보고서를 통해 "2009년부터 2023년까지 중국 국가통계국 웹사이트를 조사한 결과 위구르 마을 630개 명칭이 종교, 문화, 역사적 색채가 사라지고 공산당 선전을 반영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고 밝혔다.

이 조사는 HRW와 노르웨이에 본부를 둔 인권단체 위구르 옐프가 공동으로 진행했다.

조사결과 이슬람 종파 수피교의 지도자인 호자, 수피교 건물인 하니카 등 이슬람교 관련 용어는 모두 사라졌고 이슬람 현인 무덤인 마자르, 전통 악기 두타르 등 위구르족 전통문화를 반영한 용어들도 자취를 감췄다.

중국 당국은 위구르식 지명을 없앤 자리에 행복, 단결, 화해, 광명, 우의 등 공산당이 선전하는 이데올로기를 반영한 명칭을 대거 사용했다.

이에 대해 HRW는 "신장위구르 문화를 말살하려는 중국 정부의 광범위한 노력 일환"이라고 분석했다.

중국 공산당은 오랫동안 중국 소수 종교 및 소수 민족에 대한 강력한 통제권을 유지해 왔다.

특히 2014년 시진핑 국가주석의 신장자치구 방문 당시 우루무치 기차역에서 발생한 이슬람 무장단체 폭탄테러 이후에는 분리주의·극단주의 운동의 싹을 자른다는 목표로 신장 사회 통제를 강화하면서 이슬람교 관리에 주력했다.

올해 들어서도 지난 2월 발효된 새로운 종교규정을 통해 위구르족 종교 활동 통제를 강화하고 공산당 이데올로기 주입에 공을 들이는 등 광범위한 '종교의 중국화' 정책을 시행해 왔다.

이에 대해 미국을 비롯한 서방 국가들은 중국 당국의 위구르족을 포함한 소수민족 종교와 인권 탄압을 꾸준히 문제 삼아 왔으며, 미국은 재작년 6월 발효된 '위구르족 강제 노동 금지법'으로 신장산 제품 수입을 제한하고 있다.

위구르 옐프 창립자인 압두웰리 아유프는 각국 정부와 유엔 인권당국을 향해 "위구르 지역에서 벌어지고 있는 학대에 대한 중국 정부 책임을 묻기 위한 노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