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 합작생산 차량…EU 관세폭탄 못 피해
독일 수입 전기차 41%가 중국산…2년새 3배
독일이 수입하는 전기차 5대 중 2대가 중국산인 것으로 집계됐다.

대부분 중국 업체와 합작 형태로 생산하는 전기차다.

독일 통계청은 18일(현지시간) 올해 1∼4월 수입 전기차 가운데 중국산이 3만1천500대로 전체의 40.9%였다고 밝혔다.

중국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0년 7.7%에 불과했으나 2022년 12.0%, 지난해는 29.0%로 늘었다.

2년새 중국산이 비율이 3배 이상으로 커진 셈이다.

올해 들어 수입된 중국산 전기차 대수는 체코(8천100대), 한국(6천700대)를 크게 앞질렀다.

통계청은 "전기차 국내 수요 부진으로 수입량은 크게 줄었지만 중국산의 비중은 다시 급증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징벌적 관세의 주요 표적이 된 비야디(BYD)와 지리(Geely) 등 순수 중국 전기차업체의 시장 점유율은 미미한 수준이다.

일간 프랑크푸르터알게마이네차이퉁(FAZ)에 따르면 독일에 신규 등록한 전기차 가운데 중국 브랜드의 비율은 2022년 2% 미만에서 지난해 5.5%, 올해 1∼5월 5.7%로 늘었다.

차량 대수로는 올해 들어 지난달까지 8천42대가 등록했다.

중국산 가운데 현지업체와 합작 등 형태로 생산한 차량이 상당수라는 얘기다.

BMW의 iX3, 메르세데스-벤츠의 스마트, 스웨덴 볼보의 전기차 브랜드 폴스타 등이 중국에서 생산된다.

그러나 이런 합작 생산 방식도 유럽연합(EU)이 최근 추진하는 고율의 추가 관세를 피할 수 없을 전망이다.

EU가 중국산 전기차 추가 관세를 관철할 경우 이런 합작업체의 차량도 평균 21%포인트의 추가 관세를 물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유럽 브랜드 차량이지만 중국산이라는 이유로 더 비싸게 사야 한다는 뜻이다.

독일 업계와 정부는 친환경 교통수단 전환 등 논리를 내세워 추가 관세를 최대한 낮추는 데 주력하고 있다.

민간단체인 독일자동차클럽(ADAC)은 "2030년까지 전기차를 1천500만대 보급한다는 게 정치권의 목표"라며 "차량 가격이 오르면 이같은 친환경 전기자동차로 전환이 더욱 어려워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