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8일 ‘외교안보대화’를 한 한국과 중국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방북과 관련해 미묘한 견해차를 드러냈다.

19일 외교부에 따르면 한·중은 전날 외교부·국방부 차관급 인사가 참여하는 2+2 회동을 했다. 이 자리에서 김홍균 외교부 1차관 등 우리 측 대표단은 푸틴 대통령의 방북이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저해하고 북·러 간 불법 군사협력 강화로 이어져서는 안 된다는 의견을 전달했다. 또 북·러 간 군사협력 강화에 따른 한반도 긴장 조성은 중국 이익에 반하는 만큼 중국이 건설적 역할을 해줄 것을 요청했다.

외교부는 이날 0시 19분 발표한 보도자료에서 “중국이 ‘북·러 간 교류가 역내 평화와 안정에 기여하기를 바란다’는 취지로 말했다고 전했다. 이를 두고 중국이 북·러 간 군사 밀착을 견제하는 메시지를 내놓은 것이란 해석이 나왔다. 하지만 중국은 한국보다 16시간가량이나 늦은 오후 4시에 대화 결과를 발표하면서 “중국은 북한과 러시아는 우호적 이웃이며, 관련 고위급 교류는 두 주권국가의 양자 일정이라는 입장을 밝혔다”고 했다. 푸틴 대통령의 방북을 정상적 외교 행위로 인정한 것이다.

이날 중국 인민일보 계열 영문 매체인 글로벌타임스는 북·러의 밀착이 미국과 동맹국의 압박에서 나온 ‘합리적 선택’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커린 잔피에어 미국 백악관 대변인은 “우리는 어떤 나라도 푸틴의 침략 전쟁을 돕는 플랫폼을 제공해서는 안 된다고 본다”며 “북한의 대(對)러시아 무기 제공이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상대로 잔인하게 전쟁을 할 수 있도록 도왔다”고 말했다.

하야시 요시마사 일본 관방장관은 “북·러 간 군사 연계, 협력 강화 등을 포함해 일본을 둘러싼 지역의 안보 환경이 한층 엄중해졌다”고 평가했다.

김종우 기자 jongw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