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학년도 대학 정시모집에서 4등급을 받은 학생도 교육대와 초등교육과에 합격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상위권 교대인 서울교대의 합격자 수능 평균은 3등급대로 떨어졌다.

19일 종로학원이 2024학년도 정시에서 교대 및 초등교육과가 있는 대학 중 대입정보포털 ‘어디가’에 합격점수를 공개한 대학 12곳의 최종 등록자의 국어·수학·탐구영역 평균 백분위 70% 합격선을 분석한 결과 12개 대학 중 10개 대학이 지난해보다 점수가 떨어졌다.

진주교대(75.20점), 제주대 초등교육과(73.83점), 공주교대(71.42점), 청주교대(70.83점), 대구교대(67.75점) 등 5개 대학은 최종 등록 학생의 국수탐 수능 평균이 4등급 이하(백분위 평균 점수 77점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능 4등급은 표준점수 상위 23~40%를 뜻한다. 전년에는 교대와 초등교육과 가운데 합격선 평균 4등급대는 없었다.

최상위권 교대인 서울교대의 국수탐 평균도 87.67점으로, 수능 평균 3등급대로 떨어졌다. 지난해 서울교대 국수탐 평균은 90.67점으로, 수능 2등급이었다. 종로학원은 “교대 중 최상위권 대학도 2등급 커트라인이 무너진 상황”이라며 “최상위권 학생들의 교대 비선호 현상이 심해졌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교권 침해 논란과 학령인구 감소로 인한 교사 임용 축소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했다. 합격 점수가 전년에 비해 오른 곳은 이화여대 초등교육과(90.50점, 2.83점 상승), 춘천교대(80.33점, 0.16점 상승) 등 두 곳밖에 없었다.

강영연 기자 yy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