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 끈끈한 악수 > 24년 만에 북한을 방문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9일 방북 일정을 마무리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푸틴 대통령이 환영식이 열린 평양 김일성광장에서 악수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 더 끈끈한 악수 > 24년 만에 북한을 방문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9일 방북 일정을 마무리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푸틴 대통령이 환영식이 열린 평양 김일성광장에서 악수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9일 평양 금수산 영빈관에서 정상회담을 하고 양국 관계를 ‘준동맹’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포괄적 전략 동반자 협정을 맺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급격히 가까워진 두 나라가 이번 정상회담을 계기로 무기 거래와 기술 이전 등 군사 협력을 더욱 강화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푸틴 대통령은 이날 정상회담 첫머리 발언에서 “러시아는 수십 년간 미국과 그 위성국의 패권적, 제국주의 정책에 맞서 싸우고 있다”며 “우크라이나 정책을 포함해 러시아 정책에 대한 (북한의) 일관되고 확고한 지지에 감사한다”고 말했다.

이에 김정은은 “자기 주권과 안전이익, 영토완정을 수호하기 위해 우크라이나에서 특수군사작전(전쟁)을 수행하고 있는 러시아 정부와 군대와 인민의 투쟁에 전적인 지지와 굳은 연대성을 표시한다”고 화답했다.

김정은은 또 “지난 세기 조·소련 시기와는 비교할 수도 없는 새로운 번영의 시대에 진입하고 있다”며 “앞으로 러시아 지도부와 전략적 소통을 강화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서명한 포괄적 전략 동반자 협정에는 서방 제재를 우회할 양국 간 결제체계 구축 등 다양한 협력 사안이 포함됐다. 외교·군사뿐 아니라 에너지, 교통, 철도, 농업 등의 분야에서도 협력하기로 했다. 우려했던 ‘자동 군사개입’ 같은 조항은 포함되지 않았지만, 비공식 회담에서 북한의 무기 수출과 러시아의 기술 이전 등을 논의했을 가능성이 높다.

푸틴 대통령은 김정은과의 회담 성공을 확신한다며 차기 북·러 정상회담은 모스크바에서 열리길 기대한다고 초청 의사를 밝혔다.

김종우/김동현 기자 jongw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