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 '한중대화' 결과 뒤늦게 발표하더니…북러정상회담 입장차(종합)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방북을 앞둔 지난 18일 서울에서 열린 한중 외교안보대화와 관련해 중국 측 결과 발표가 늦어진 데다 핵심 문구에도 한중 간 차이가 있어 배경이 주목된다.

19일 외교부에 따르면 김홍균 제1차관과 중국의 쑨웨이둥(孫衛東) 외교부 부부장(차관)은 전날 오후 개최한 '한중 외교안보대화'에서 양자관계, 한반도 문제, 지역 및 국제정세 등 상호 관심사를 논의했다.

한중 외교안보대화는 양국 외교부와 국방부가 참여하는 '2+2' 대화 협의체다.

전날 오후 3시쯤 시작한 회의는 애초 2시간가량 진행될 것이라는 예상보다 훨씬 길어져 오후 7시가 돼서야 끝났다.

양측은 업무만찬을 함께하며 대화를 이어갔다.

이후 한국 측 대화 결과 보도자료는 자정을 넘겨 오전 12시20분에 나왔지만, 중국 측 입장 발표는 예상과 달리 오후 4시 시작된 대변인 공식 브리핑 자리에서 이뤄졌다.

한국 측 발표보다 무려 16시간 가까이 늦은 셈이다.

공동행사 보도문은 상대국과 비슷한 시간에 맞춰서 내는 것이 관례고, 중국의 경우에도 저녁 회담 등 특별한 사정이 있더라도 새벽이나 이른 아침에는 보도문을 발표했던 전례에 비춰보면 이례적이다.

이와 관련 외교안보대화가 푸틴 대통령 방북과 공교롭게도 겹치면서 민감성이 커져 중국 측 발표에 시간이 걸린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그동안 '북중러'로 묶이는 것을 불편해하는 중국은 푸틴 대통령 방북에 신중한 모습을 보여왔다.

중국 입장에선 북러가 똘똘 뭉쳐 국제정세를 신냉전으로 몰고 가는 상황이 달갑지 않지만, 우방인 북한과 러시아를 배려하지 않을 수도 없어 행사에서 한반도 문제가 어떻게 다뤄졌는지 공개하는데 신중을 기했을 수 있다는 관측이다.

지난달 한중 외교장관회담에서 우리가 중국을 향해 한반도 문제에 대한 역할을 당부한 것과, 한중일 정상회의 공동선언에 '한반도 비핵화' 표현이 담긴 것에 북한이 반발했다는 점도 중국이 고려했을 가능성이 있다.

특히 중국 측 입장이 한국 보도자료를 통해 먼저 공개된 점이 영향을 미친 것 아니냐는 시각도 있다.

외교부는 중국 측이 한중 외교안보대화 및 이에 앞서 조태열 장관을 예방한 자리에서 "러북 간 교류가 역내 평화와 안정에 기여하기를 바란다"고 언급했다고 전했는데, 이는 북러 협력에 대한 견제성 발언이어서 중국 입장에선 공개가 부담스러웠을 수 있다는 의미다.

실제 린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19일 브리핑에서 연합뉴스의 관련 질문에 "중국은 (외교안보대화에서) '조러(북러)는 우호적 이웃으로 교류·협력과 관계 발전을 위한 정상적 필요가 있고, 관련 고위급 왕래는 두 주권국가의 양자 일정(安排)'이라고 밝혔다"혀 한국 측의 발표와 차이를 보였다.

한국 측 발표를 보면 중국이 북러대화에 일정 수준 견제구를 날린 것으로 보이지만, 중극 측 발표에 따르면 중국이 북러 정상회담에 대해 필요성을 인정하는 발언을 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중, '한중대화' 결과 뒤늦게 발표하더니…북러정상회담 입장차(종합)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