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스토어 TF 구성…젠트리피케이션 조짐에도 대책 마련
성동구 '팝업스토어 매뉴얼' 제작…"폐기물·소음 해법 모색"
서울 성동구(구청장 정원오)는 성수동의 팝업스토어 활성화에 따라 발생하는 폐기물, 소음 등의 문제점을 개선하는 대책 마련에 착수했다고 19일 밝혔다.

성수동은 식품, 패션, 뷰티 등 다양한 분야의 체험·전시 공간으로 월평균 90개의 팝업스토어가 운영돼 '팝업 성지'로 불린다.

그러나 단기 임대차 상가의 임대료가 주변 상권 임대료 상승을 유발하거나, 짧은 운영 기간에 설치와 철거가 반복되는 데 따른 폐기물 발생, 소음 민원 등이 늘면서 문제가 되고 있다.

이에 구는 지난 5월 팝업스토어 TF팀을 구성해 대책 마련에 나섰다.

TF는 폐기물, 소음, 광고물, 안전관리 등 팝업스토어 운영에 따른 문제점을 파악하고 대처 방안을 강구한다.

구는 우선 팝업스토어 운영 시 알아야 할 규칙과 정보를 담은 '성동형 팝업 매뉴얼'을 제작했다.

▲ 옥외 광고물 신고 ▲ 건축물 용도 준수 ▲ 안전관리 ▲ 소음 저감 ▲ 폐기물 관리 ▲ 식품위생 ▲ 영업신고 등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됐다.

매뉴얼 하단에는 QR코드를 통해 상세 내용과 문의처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구는 성수동에 자본력 있는 기업이 몰려들고 단기 고가의 팝업스토어 임대료가 주변 상권 임대료에 영향을 미치며 젠트리피케이션 조짐이 있다고 진단했다.

이에 따라 구는 일부 팝업 중개 플랫폼 측에 팝업스토어의 사용료를 지속해서 공개해줄 것을 요청했다.

사용료가 공개되면 투명하고 안정적인 상권 조성에 도움이 될 것으로 구는 기대한다.

제도 개선이 필요한 부분은 관계기관에 건의해 법적 기준을 마련할 방침이다.

또 마케팅 전문가, 디벨로퍼, 도시계획 전문가 등으로 팝업 자문단을 구성해 성수동 지역 발전과 공동체 상생이 조화를 이루는 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다.

성동구는 지난해 지속가능발전구역을 성수동 전역(성수동 전략정비구역 등 일부를 제외)으로 확대하는 젠트리피케이션 방지 정책 2.0을 추진 중이다.

이에 따라 이달에 연구용역에 착수해 연말까지 성수준공업지역 지구단위계획과 연계한 성수동 지속가능발전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정원오 구청장은 "성수동 팝업스토어 활성화에 따라 발생 되는 문제들을 슬기롭게 해결하여 지역공동체가 상생하는 생태계가 조성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