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무부 "어떤 나라도 푸틴에 우크라 침략 플랫폼 제공하면 안 돼"
국방부 "상황 계속 모니터"…일단 신중 기류
美, 김정은-푸틴 협정체결에 "북러 협력 심화 크게 우려할 일"
미국 정부는 19일(현지시간) 북한과 러시아가 '포괄적 전략 동반자 협정'(이하 협정)을 체결한 데 대해 "북러 협력 심화는 크게 우려해야 할 추세"라고 거듭 강조했다.

국무부 대변인은 이날 북러간 협정 체결을 포함한 북러 정상회담 결과에 대한 연합뉴스의 논평 요청에 "러시아와 북한의 협력 심화는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유지하고, 세계적인 비확산 체제를 지지하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결의를 준수하고, 러시아의 잔혹한 침략에 맞서 우크라이나 국민의 자유와 독립을 수호하는 데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크게 우려할 추세"라고 밝혔다.

국무부 대변인은 또 "앞서 말했듯 우리는 어떤 나라도 푸틴 대통령에게 우크라이나 침략 전쟁을 촉진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며 "러시아는 노골적으로 유엔 헌장을 위반하고 있으며, 국제 시스템을 훼손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북한에 대해서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여러 차례 타격하는 데 사용한 탄도미사일 등 무기 및 관련 물자를 북한이 (러시아에) 이전하고 러시아가 조달한 것은 구속력 있는 안보리 결의에 대한 명백한 위반"이라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미국 국방부 당국자는 연합뉴스의 논평 요구에 "우리는 보도를 봤고, 그 상황을 계속 모니터할 것"이라면서 "현재로선 그 이상 밝힐 것이 없다"고 답했다.

이는 북러 협정의 구체적인 내용이 아직 공개되지 않은 상황에서 신중하고 절제된 첫 반응을 보인 것으로 풀이된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이날 평양에서 정상회담을 한 뒤 포괄적 전략 동반자 협정을 체결했다고 양국 언론들이 전했다.

이에 대해 김정은 위원장은 "동맹관계"라고 선언했지만, 푸틴 대통령은 "동맹"이라는 표현은 없이 "침략당할 시 상호지원"하는 것이라고만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