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환경단체 'SMR 사업 중단' 요구에 "무책임한 선동"
대구시는 군위군에 건설을 추진 중인 소형모듈원자로(SMR) 사업에 대해 환경단체들이 "위험하다"며 중단을 요구한데 대해 안전성을 강조하며 정면 반박하고 나섰다.

이종헌 정책특보는 20일 기자간담회를 열어 "이제 막 첫발을 시작한 사업에 대한 잘못된 주장과 무책임한 선동, 구시대적 행태들은 지역 발전은 물론이고 우리 미래를 위해서도 바람직하지 않다"고 밝혔다.

그는 "대구시는 정부의 엄격한 표준 인증 절차를 통한 안전성 확보와 한수원의 원전 50년 무사고 운용 능력 등을 철저하게 신뢰하며 이런 바탕 위에서 SMR 1호기가 군위에 선정되어 우리나라는 물론 세계 최초 상용화 사례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특보는 특히 "SMR 원자로 용기는 지하 40m에 설치되며 지하 10m 지점에는 격납용기가, 지상에는 격납 건물이 세워진다"면서 "일반원전과 같이 1차와 2차 냉각수는 각각 별도의 계통으로 유동되기 때문에 방사능 물질 외부 유출은 구조적으로 가능하지 않다"고 설명했다.

이어 "SMR은 낙동강과 최소 10㎞ 이상 떨어져 있어 일반 원전의 온배수 문제는 일어나지 않는다"고 말하고 "앞으로 실시설계 시 중수도, 무방류 시스템을 도입, 3차 냉각수까지도 SMR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방안을 모색할 것"이라고 했다.

앞서 대구시는 지난 17일 한국수력원자력과 업무협약을 체결, 2033년 상업 발전을 목표로 군위에 SMR 건설을 추진키로 했다고 밝혔다.

이런 계획이 발표되자 지역 환경단체들은 19일 기자회견을 열어 "온배수와 방사능, 사용후 핵연료 등 난제를 안고 있는 SMR 건설이 영남권 전체를 위험에 빠뜨릴 수 있다"고 주장하며 사업 중단을 요구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