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보리 대북제재 뜯어고쳐야' 푸틴 입장엔 "제재·압박만으론 문제 못풀어" 공감
'북러 조약'에 말아끼는 中정부…"양국 간의 일" "논평 않겠다"
북한과 러시아가 19일 사실상 '자동 군사 개입'으로 평가되는 조항을 포함한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에 관한 조약'을 체결해 서방권에서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중국은 이번 조약 체결에 대해 "두 국가 간의 일"이라며 여전히 말을 아꼈다.

린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20일 정례 브리핑에서 "북러 조약에는 사실상의 자동 군사 개입이 포함됐고 북러가 동맹 관계를 복원한 것이라는 평가도 나오는데, 중국은 새 조약이 한반도와 유라시아 평화·안정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보는가"라는 연합뉴스 질문에 "우리는 관련 보도에 주목했다"면서도 "이는 조러(북러)간의 양자 협력 사무로, 나는 논평하지 않겠다"고 답했다.

린 대변인은 다만 "반도(한반도) 문제에 관해 중국의 입장은 일관된다"면서 "시종 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수호하고, 반도 문제의 정치적 해결 프로세스를 추동하는 것이 각 당사자의 공동이익에 부합한다고 인식해왔으며, 각 당사자가 이를 위해 건설적인 노력을 하기를 희망한다.

중국도 각 당사자와 함께 이를 위해 건설적인 노력을 할 것"이라는 종전 중국의 입장을 재확인했다.

린 대변인은 아울러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회담 후 러시아와 북한이 군사적으로 협력할 것이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의 대북 제재를 뜯어고쳐야 한다고 했는데,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중국은 푸틴 대통령 입장을 어떻게 평가하는가"라는 추가 질문에는 "러시아와 조선(북한)의 협력은 두 주권국가간의 일로 중국은 관련 상황을 파악하고 있지 않다"고 운을 뗐다.

이어 "원칙적으로 중국은 반도 관련 문제에서 덮어놓고 제재와 압박만 하는 것으론 문제를 해결할 수 없고, 정치적 해결이 유일한 출구라고 본다"고 덧붙였다.

이날 린 대변인은 새 북러 조약 안에 포함된 '서로의 제도 선택·발전 권리와 핵심 이익을 침해하는 협정을 제3국과 체결하지 않는다'는 조항(제5조)에 대한 중국의 입장을 묻는 말이나 이번 조약으로 '한미일 대 북러'의 구도가 형성됐는데 중국은 스스로의 위치를 어디에 둘 것인지를 묻는 후속 질문에도 "나는 논평하지 않겠다"는 답으로 일관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