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분히 협상했고 법 따라 국회 정상화"…18개 상임위원장 '독식'도 불사
민주 "인구 비상사태라며 국회 보이콧하나"…與에 원구성 압박
더불어민주당은 20일 국회 원(院) 구성 파행과 관련, 국민의힘을 향해 '국회 보이콧'을 철회하고 상임위에 복귀하라고 촉구했다.

우원식 국회의장이 전날 입장문을 통해 이번 주말까지 원 구성 협상을 마무리하라고 최후통첩을 한 상황에서 여당을 향한 압박 수위를 더욱 끌어올리는 모양새다.

박찬대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정책조정회의를 열어 법제사법·운영위원장을 여야가 1년씩 번갈아 맡자고 한 여당의 전날 제안을 재차 비난했다.

박 원내대표는 "이러다가 대통령도 1년씩 돌아가면서 하자고 하겠다"라며 "꼼수로 국회를 파행시키지 말고 어서 국회로 돌아오라"고 말했다.

진성준 정책위의장은 회의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전날 '인구 국가비상사태'를 선언하며 저출생 문제 대책을 제시한 것을 끌어다 여당의 태도를 비판했다.

그는 "국회에 인구위기 대응 특위를 설치하자고 제안했지만, 국회를 거부하는 여당에 이런 제안이 무슨 소용이 있나 싶다"라며 "윤 대통령이 국가 비상사태를 선포한 마당에 국회를 보이콧해서야 되겠나"라고 지적했다.

박성준 원내수석부대표는 현재 국민의힘의 협상 태도를 두고 "22대 총선 민심을 수용하지 않겠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민주당 단독으로 본회의에서 선출한 상임위 11곳을 뺀 나머지 7곳의 상임위원장을 수용하는 것이 야당에 다수 의석을 몰아준 민심을 존중하는 자세라는 주장이다.

박 원내수석부대표는 "총선 민심을 돌아보고 이를 받들라"며 "민심을 계속 거부하면 국민이 가만히 있지 않을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민주당은 오후에 의원총회를 열어 원 구성 협상 상황을 공유하고 의원들의 의견을 수렴할 예정이다.

현재는 우 의장이 제시한 시한까지 원 구성 협상이 마무리되지 않으면 나머지 상임위원장 7자리도 민주당이 차지할 가능성이 크다.

민주당의 양보 없이 '18대 0'으로 상임위원장이 배분되면 '입법부 독식'이라는 프레임이 부담스러울 수 있다는 목소리도 있지만, 원내지도부는 이를 일축했다.

강유정 원내대변인은 정책조정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충분히 협상을 했고, 국회법에 따라 국회를 정상화하겠다는 것"이라며 "'독식 프레임'이라는 말 자체에 어폐가 있다"고 반박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