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 한국 전용 홈페이지 열어…데이지 앰배서더에 김유정
SPA 브랜드·패션 플랫폼 '촉각'…유해성·IP 침해 과제로
쉬인, 한국시장 진출 선언…"마케팅 강화할 것"(종합)
중국 온라인 패션과 라이프스타일 리테일 기업 쉬인(SHEIN)이 이 한국 시장 진출을 공식 선언했다.

쉬인은 20일 보도자료를 통해 "지난 4월 한국 전용 홈페이지를 열고 본격적으로 한국 시장에 진출했다"며 "앞으로 마케팅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밝혔다.

쉬인은 한국 진출의 하나로 최근 서브 브랜드인 '데이지'의 첫 글로벌 앰배서더로 배우 김유정을 발탁하고 김유정이 직접 큐레이팅한 데이지의 봄·여름 컬렉션을 선보이기도 했다.

2022년 12월 한국 법인을 설립한 쉬인은 작년 8월부터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한 마케팅을 펼쳐왔으나 한국 진출을 공식 선언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쉬인 코리아 마케팅 담당자 보니 리우는 "한국은 패션 스타일, 엔터테인먼트,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세계를 선도하고 있다"며 "한국 고객들의 패션,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가성비 높은 고품질 제품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김유정 배우와 데이지 파트너십을 통해 한국의 패션 스타일을 전 세계와 공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중국판 유니클로'라고도 불리는 쉬인은 5달러 스커트와 9달러 청바지 등 저렴한 제품으로 미국과 유럽에서 큰 인기를 끌었다.

현재 중국을 제외한 150여개국에서 패션제품을 판매 중이다.

작년 순이익은 20억달러(2조7천억원)로 제조·유통 일원화(SPA) 경쟁 브랜드인 자라와 H&M을 넘어섰다.

쉬인, 한국시장 진출 선언…"마케팅 강화할 것"(종합)
업계는 쉬인의 한국 시장 진출로 스파오·탑텐 등 국내 제조·유통 일원화(SPA) 브랜드뿐 아니라 무신사·에이블리·지그재그·W컨셉 등 패션 플랫폼이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고 있다.

쿠팡 등 이커머스 업체들도 패션 부문에서 상당수 중국산을 판매하고 있어 적지 않은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실제 쉬인은 국내 패션 브랜드 업체와 접촉해 "상품을 글로벌망을 통해 판매하자"며 입점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SPA 업체 관계자는 "쉬인이 론칭한 지 십여년이 됐고 북미지방에서 상당히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만큼 이번 진출로 국내 많은 패션 브랜드에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다만 국내 소비자들이 무조건 저렴하다고 구매하지 않기 때문에 얼마나 빠르고 트렌디하면서 질 좋은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느냐가 관건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쉬인은 다른 중국 이커머스 기업인 알리, 테무와 마찬가지로 유해성 논란에 휩싸여있다.

앞서 서울시는 쉬인에서 판매 중인 어린이용 가방 등 가죽제품 8개의 안전성을 검사한 결과 7개 제품에서 유해 화학물질이 나왔다고 밝혔다.

어린이용 가죽가방 4개 중 1개 제품에서는 폼알데하이드가 기준치 대비 1.2배 초과 검출됐고 나머지 3개 제품에서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최대 153배 검출됐다.

이 중 2개 제품은 중금속 함유량도 기준치를 넘었다.

디자인 도용 등 지적재산(IP) 침해 문제도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한국패션산업협회는 지난 4일 중국 이커머스 업체들의 IP 침해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패션IP센터'를 출범했다.

쉬인, 한국시장 진출 선언…"마케팅 강화할 것"(종합)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