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국종 "의대생 늘린다고 소아과 가겠냐"…의대 증원 비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국종 대전국군병원장 의대 정원 확대에 비판적인 의견을 밝혔다.
이 병원장은 지난 19일 대전 유성구 국립중앙과학관에서 지역 교사들을 대상으로 열린 '명강연 콘서트'에 참석해 "의료계 벌집이 터졌고, 전문의는 더 이상 배출되지 않아 없어질 것"이라면서 "급격한 의대 정원 증원이 필수 의료 기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근본적인 대책이 될 수 없다"고 말했다.
이 병원장이 공식적으로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에 대해 입장을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 병원장은 의대 교육 시스템이 "강의식이 아닌 일대일 도제식"이라고 언급하면서 함부로 많은 수를 양성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30년 전과 비교해 소아과 전문의는 3배 늘었고 신생아는 4분의 1 수준으로 줄었지만 정작 부모들은 병원이 없어 '오픈런'을 한다"며 "이런 상황에서 의대생을 200만 명 늘린다고 해서 소아과를 하겠느냐"고 반문했다.
의대 정원 확대에 앞서 필수 의료 시스템부터 갖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병원장은 "실제 의사로 배출되려면 10년 이상이 소요됨에도 불구하고 전공의(인턴·레지던트) 수련을 거쳐 전문의가 되어도 실제 수련받은 과에서 근무하는 의사가 적다"며 "시급한 건 필수 의료를 살릴 시스템부터 갖추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불가항력적 의료소송 부담, 원가에도 못 미치는 고질적인 저수가를 해결해 의사들이 실제 수련받은 과에서 근무할 수 있는 환경부터 만들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또한 "정권이 달라지면 의료정책도 달라진다"면서 "지금 의사가 부족하다고 하는데 내가 전문의를 취득한 1999년에는 의사가 너무 많아 수출해야 한다고 했고, 얼마 전까지는 미용으로 의료관광을 육성한다더니 이제는 필수 의료를 살려야 한다고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해외에서 한국 같은 '응급실 뺑뺑이'는 상상도 할 수 없다. 미국은 환자가 병원에 도착하기도 전에 의사와 간호사가 대기하고 있다"며 "일본이 1800번의 닥터헬기를 띄운다면 한국은 미군헬기까지 동원해도 출동 횟수가 300번이 안 된다. 이런 게 필수 의료이고, 이런 시스템부터 다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앞으로 전문의가 배출되지 않아 사라질 것"이라며 "현재 (의료계가) 몇 달째 머리를 맞대고 있지만 답이 나오지 않는다"고 우려했다.
정부는 현재 고3에게 적용되는 2025학년도 의대 정원을 기존 정원 대비 50%가량(1497명) 늘렸다. 정부는 의대 정원을 늘려 의사가 많아지면 필수 의료 의사도 늘어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의료계에서는 의대생들의 집단 휴학, 의사들의 집단 휴진까지 이뤄질 만큼 반발이 나왔다. 국방부는 의대 증원으로 촉발된 의정 갈등에 따른 의료 공백을 메우기 위해 지난 2월 중 군 병원 응급실을 개방하고 비상 진료체계를 운영했고, 이 병원장이 수장으로 있는 국군대전병원도 군 병원 중 하나로 민간인 응급환자 등을 치료해왔다.
중증 외상 분야의 권위자인 이 병원장은 지난해 12월 국군대전병원장에 취임했다. 이 병원장은 2011년 ‘아덴만 여명 작전’에서 총상을 입은 석해균 당시 삼호주얼리호 선장을 치료한 의료인이다
김소연 한경닷컴 기자 sue123@hankyung.com
이 병원장은 지난 19일 대전 유성구 국립중앙과학관에서 지역 교사들을 대상으로 열린 '명강연 콘서트'에 참석해 "의료계 벌집이 터졌고, 전문의는 더 이상 배출되지 않아 없어질 것"이라면서 "급격한 의대 정원 증원이 필수 의료 기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근본적인 대책이 될 수 없다"고 말했다.
이 병원장이 공식적으로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에 대해 입장을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 병원장은 의대 교육 시스템이 "강의식이 아닌 일대일 도제식"이라고 언급하면서 함부로 많은 수를 양성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30년 전과 비교해 소아과 전문의는 3배 늘었고 신생아는 4분의 1 수준으로 줄었지만 정작 부모들은 병원이 없어 '오픈런'을 한다"며 "이런 상황에서 의대생을 200만 명 늘린다고 해서 소아과를 하겠느냐"고 반문했다.
의대 정원 확대에 앞서 필수 의료 시스템부터 갖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병원장은 "실제 의사로 배출되려면 10년 이상이 소요됨에도 불구하고 전공의(인턴·레지던트) 수련을 거쳐 전문의가 되어도 실제 수련받은 과에서 근무하는 의사가 적다"며 "시급한 건 필수 의료를 살릴 시스템부터 갖추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불가항력적 의료소송 부담, 원가에도 못 미치는 고질적인 저수가를 해결해 의사들이 실제 수련받은 과에서 근무할 수 있는 환경부터 만들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또한 "정권이 달라지면 의료정책도 달라진다"면서 "지금 의사가 부족하다고 하는데 내가 전문의를 취득한 1999년에는 의사가 너무 많아 수출해야 한다고 했고, 얼마 전까지는 미용으로 의료관광을 육성한다더니 이제는 필수 의료를 살려야 한다고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해외에서 한국 같은 '응급실 뺑뺑이'는 상상도 할 수 없다. 미국은 환자가 병원에 도착하기도 전에 의사와 간호사가 대기하고 있다"며 "일본이 1800번의 닥터헬기를 띄운다면 한국은 미군헬기까지 동원해도 출동 횟수가 300번이 안 된다. 이런 게 필수 의료이고, 이런 시스템부터 다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앞으로 전문의가 배출되지 않아 사라질 것"이라며 "현재 (의료계가) 몇 달째 머리를 맞대고 있지만 답이 나오지 않는다"고 우려했다.
정부는 현재 고3에게 적용되는 2025학년도 의대 정원을 기존 정원 대비 50%가량(1497명) 늘렸다. 정부는 의대 정원을 늘려 의사가 많아지면 필수 의료 의사도 늘어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의료계에서는 의대생들의 집단 휴학, 의사들의 집단 휴진까지 이뤄질 만큼 반발이 나왔다. 국방부는 의대 증원으로 촉발된 의정 갈등에 따른 의료 공백을 메우기 위해 지난 2월 중 군 병원 응급실을 개방하고 비상 진료체계를 운영했고, 이 병원장이 수장으로 있는 국군대전병원도 군 병원 중 하나로 민간인 응급환자 등을 치료해왔다.
중증 외상 분야의 권위자인 이 병원장은 지난해 12월 국군대전병원장에 취임했다. 이 병원장은 2011년 ‘아덴만 여명 작전’에서 총상을 입은 석해균 당시 삼호주얼리호 선장을 치료한 의료인이다
김소연 한경닷컴 기자 sue12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