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청, '인플루엔자 대유행 대비·대응계획' 개정 위한 심포지엄
WHO "다음 팬데믹은 신종인플루엔자가 될 가능성"
"다음 팬데믹은 변종 독감"…질병청, 대유행 대응계획 개정 추진
질병관리청은 '인플루엔자 대유행 대비·대응 계획' 개정 초안 마련을 위한 전문가 심포지엄을 20일 오후 코트야드 메리어트 서울 남대문호텔에서 열었다.

이 계획은 매년 발생하는 계절 인플루엔자(독감)가 아닌, 신종 또는 변종에 의한 대유행에 대비한 계획이다.

지난 2006년 제정된 뒤 2011년과 2018년 두차례 개정됐다.

질병청은 코로나19 대유행의 교훈을 반영해 6년 만에 이 계획의 개정을 추진하기로 하고 이날 전문가들의 의견을 들었다.

질병청은 개정 목표를 '유행 규모를 최소화하고, 중증화율과 사망률을 줄이는' 쪽으로 잡고 유행 정점기를 최대한 지연시켜 의료체계 내에서 관리 가능한 수준을 유지하고, 중증환자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한 전략을 강화할 계획이다.

조기 감시를 통해 유행 발생 전(前) 단계에서 위험신호를 탐지하고 가장 효과적인 대응 수단을 판별하는 한편, 백신 개발을 100~200일로 단축하고 '원헬스(사람·동물·환경의 건강을 균형 있게 조정하고 최적화) 전략'을 통해 인수공통감염을 공동감시하는 것을 중점 과제로 잡았다.

세부 계획으로는 ▲ 변이바이러스를 신속히 확인하는 검사법 개발 ▲ 초기 6개월 대응 가능한 치료제·방역물자 사전 비축 ▲ 다양한 백신 플랫폼 개발 ▲ 대규모 접종을 위한 접종센터 인프라 구축 ▲ 원헬스 통합 감시 및 관리를 위한 조기경보체계 개발 등을 담을 방침이다.

코로나19 유행으로 인해 위험도가 과소평가되는 경향이 있지만, 인플루엔자는 사실 역사상 가장 큰 유행과 사망을 초래한 대표적인 호흡기 바이러스 질환이다.

매년 유전자의 일부가 '소(小)변이'돼 계절 인플루엔자가 발생하는데, 서로 다른 바이러스 유전자가 재조합하며 새로운 바이러스가 탄생하는 '대(大)변이'가 생겨나면 대유행으로 이어진다.

1918년 5천만~1억명을 숨지게 한 스페인 독감이 대유행의 대표적인 예다.

1968년 발생한 홍콩독감은 200만명, 2009년의 신종플루는 190만명을 희생시켰다.

최근에는 병독성이 높은 조류인플루엔자가 조류뿐 아니라 고양이, 돼지, 소 등 다양한 포유동물에서 발생하고 있는 것도 위협적이다.

최근 미국에서는 포유류인 젖소 간 조류인플루엔자 감염 사례가 나와 사람 간 전파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세계보건기구(WHO)는 지난 1월 다음 팬데믹이 신종인플루엔자가 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하며 사전에 준비할 것을 촉구하기도 했다.

"다음 팬데믹은 변종 독감"…질병청, 대유행 대응계획 개정 추진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