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가 대북 군사지원 나서면 우크라에 살상무기 지원 현실화 가능성
무기지원 절차 검토 이미 마무리…교육훈련 지원 등 인적교류도 검토
"우크라 무기지원은 러 행동에 달려"…155㎜ 포탄 등 'K-방산' 대기중
정부 고위당국자는 21일 우크라이나에 살상무기를 지원하는 문제와 관련해 "러시아가 어떤 형태로 행동 하느냐, 러북 간에 어떤 식의 협력이 더 강화되느냐에 달려있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이날 '우크라이나 살상무기 지원은 바로 이뤄질 수 있느냐'는 연합뉴스 질문에 "러북한 협력이 어떻게 구체적으로 나오느냐를 보면서 정해지게 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는 러시아가 북한과 군사동맹 수준의 조약을 체결한 것만으로도 위협이지만, 여기서 더 나아가 조약을 근거로 대북 군사지원을 늘리는 등 '행동'에 나선다면 우리도 우크라이나에 살상무기 지원으로 맞대응할 수밖에 없다는 취지로 해석된다.

장호진 국가안보실장은 전날 북러가 군사동맹에 준하는 내용의 '전략적 동반자 관계 조약'을 체결한 것을 규탄하며 "우크라이나에 대한 무기 지원 문제는 재검토할 예정"이라고 말한 바 있다.

정부는 이미 우크라이나로 우리 무기를 내보내는 데 필요한 법적·행정적 절차의 검토를 마무리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은 그간 우크라이나에 전투식량, 방탄복, 방독면, 천막, 응급처치 키트 등 비살상·인도적 물자만 지원했다.

한국산 무기를 원하는 우크라이나의 목소리가 컸지만, 한국은 우크라이나에 포탄을 지원하는 미국에 포탄을 대여해주는 방식으로 일종의 '우회 지원'만 이어왔을 뿐 직접적 지원에는 선을 그었다.

최근 세계 각지로 수출되는 'K-방산'에는 우크라이나 전장에서 활용도가 높은 무기들이 가득하다.

우회 지원 대상이었던 155㎜ 포탄이 가장 유력한 우크라이나 직접 지원 가능 무기로 손꼽힌다.

155㎜는 나토(NATO·북대서양조약기구) 등 서방권의 표준 야포 구경이다.

한국은 K9 자주포에 사용되는 155㎜ 포탄을 300만 발 이상 보유했다고 알려졌다.

여타 서방권 국가들과 비교해 기존 보유량이 많을 뿐 아니라 분단국가 특성상 추가 생산 역량마저 월등하다고 전해진다.

"우크라 무기지원은 러 행동에 달려"…155㎜ 포탄 등 'K-방산' 대기중
북한 위협에 상시 대응하며 군사력을 축적해 온 한국에는 포탄 이외에도 우크라이나에 넘길 만한 무기가 많다.

전문가들은 우크라이나와 동쪽 국경을 맞댄 폴란드가 한국에서 도입한 무기 목록을 보면 우크라이나 전장에서 어떤 무기가 필요할지 윤곽이 나온다고 평가한다.

폴란드는 2022년 한국과 20조 원 규모의 초대형 방산 구매 계약을 체결했다.

K9 자주포, K2 전차, FA-50 경전투기 등이 포함됐고 이후 추가로 다연장로켓(MLRS) 천무까지 구매하기로 했다.

K9 자주포는 루마니아도 최근 구매를 결정했다.

현재 폴란드의 최대 안보 위협이 러시아라는 점을 고려하면, 이런 무기들이 러시아를 상대할 때 유용하다고 인정된 셈이다.

정부는 꼭 살상 무기가 아니더라도 러시아가 불편해할 여러 방편이 있다고 보는데, 우크라이나에 대한 교육훈련 지원 등 인적 교류도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