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정복 인천광역시장이 21일 시청 브리핑룸에서 2025 APEC 정상회의 개최도시 선정과 관련해 인천시 입장을 발표하고 있다. 인천시
유정복 인천광역시장이 21일 시청 브리핑룸에서 2025 APEC 정상회의 개최도시 선정과 관련해 인천시 입장을 발표하고 있다. 인천시
유정복 인천시장은 내년 11월 국내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개최도시가 사실상 경주로 선정된 데 대해 불복 의사를 밝혔다.

유 시장은 21일 "공항, 호텔, 회의장 등 행사 진행에 필요한 모든 조건이 완벽한 인천을 탈락시킨 것은 수능 만점자를 탈락시킨 것과 같은 참 나쁜 결정"이라고 반발했다. 유 시장은 외교부 장관을 만나 재논의를 요구하기로 했다.

그는 경북 경주시의 APEC 유치 신청은 외교부의 공모 공고 위반 소지가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APEC 개최도시 선정을 위한 외교부 공고에 따르면, 신청 도시 자격을 광역자치단체나 기초자치단체에서 하게 돼 있으나 회의장 부족으로 개최지역 범위인 경북을 벗어나 타 도시로 확대했다는 게 인천시의 주장이다.

시 관계자는 "경주시가 공모기준의 가장 중요한 요소인 주요 회의장 배치안을 당초 유치신청서와 전혀 다르게 변경한 것은 명백한 공모기준 위반"이라며 "이에 대한 면밀하고 객관적인 검토 없이 표결이 진행된 점에서 공정성에 의문이 든다고 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경주시의 공식적인 정상회의 장소의 분산 배치 발표가 없었고, 경주시장의 언론기고문에서 동남권의 파급효과 정도로만 언급돼 있어 논란이 예상된다.

이에 인천시 측은 대구·경북지역 일부 언론의 "회의장 부족 문제로 각료회의장을 부산, 울산, 대구 등으로 분산 배치하겠다"는 보도 등을 증거로 언급하며 공모 위반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한편 각료회의는 내각을 운영하는 장관회의를 의미한다. APEC 정상회의와 함께 열리는 관계 장관회의가 개최도시에서 열리지 않은 사례도 있었다.

21일 해수부에 따르면, 지난 2014년 APEC 정상회의는 중국 베이징에서 열렸지만, 해양장관회의는 푸젠성 샤면에서 개최됐다. 정상회의 의장국 개최지와 분야별 장관회의의 의장국 및 개최지는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게 해수부의 설명이다.

APEC은 세계 국내총생산(GDP)의 약 60% 이상, 세계 교역량의 50%가량을 점유하고 있는 세계 최대 규모의 경제협력체다. 인천, 제주, 경북 경주가 사활을 건 유치전에 뛰어들었다.

APEC 정상회의 개최도시선정위원회는 20일 4차 회의를 열고 APEC 정상회의 개최도시로 경주를 APEC 준비위에 건의하기로 의결했다. 외교부는 “문화·관광자원 등 다양한 방면에서 우수성을 갖춘 경주시가 ‘2025 APEC 정상회의’ 개최를 위한 최적의 후보 도시라고 다수결로 결정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유 시장은 “마치 수능 만점자를 탈락시킨 것과 같은 참 나쁜 결정”이라며 “이른 시일 안에 외교부 장관을 만나 신중하고도 현명한 결정을 촉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인천=강준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