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한동훈 전 국민의힘 비대위원장 딸의 '허위 스펙 쌓기' 의혹을 경찰이 작년 말 불송치 결정한 데 대해 고발단체가 재수사 심의를 요청했으나 경찰 수사심의위원회가 받아들이지 않았다.

조국혁신당은 "역사에 남을 직무 유기를 저지른 경찰에게 면죄부를 줬다"고 비판했다.

황운하 조국혁신당 원내대표는 21일 오전 최고위원회의에서 "경찰은 국민에게 비웃음을 받아도 좋다는 각오로 필사적으로 수사를 안 한 것"이라며 "이제 한동훈 딸에 대한 수사는 특검으로 할 수밖에 없게 됐다"고 말했다.

황 원내대표는 "경찰은 논문 대필이 실재했는지 판단 여부조차 불송치 이유서에 담지 않았다"며 "2만 시간 봉사활동으로 표창장을 받았는데, 2만 시간 봉사활동이 가능한지 의심조차 하지 않았다. 직장인이 주 40시간 10년을 일해야 2만 시간이 된다"고 지적했다.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이어 "한 위원장은 이재명 민주당 대표가 본인 방탄을 위해 대표직에 있다며 쉴 새 없이 음해했다"면서 "한 위원장이 당 대표가 되려는 것이야말로 여당을 방패로 삼기 위한 방탄 아니냐"고 반문했다.

이해민 의원도 봉사활동 시간과 관련해 "입수한 캘리포니아 공립학교 봉사상 통계를 말씀드리겠다. 1등 800여 시간, 2등 750시간, 3등은 400시간 아래로 떨어진다"고 주장했다.

전날 서울경찰청 수사심의계는 수사심의위원회를 열고 한 전 위원장과 아내, 딸이 업무방해·위계공무집행방해 등 혐의로 고발된 사건의 재수사 여부를 심의했다.

회의에서는 고발인 측의 심의 신청을 받아들이지 않기로 결론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경찰이 해당 의혹을 재수사하지 않을 전망이다.

한 전 위원장 딸 봉사시간 관련 논란은 지난 2022년 청문회에서 불거졌다.

당시 한동훈 법무부 장관 후보자의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민주당은 결정적 한 방을 별렀지만 첫 공세부터 헛발질이었다.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최강욱 당시 민주당 의원은 "노트북 기증자가 한 아무개라고 나옵니다 지금. 그리고 거기에 해당하는 것이 영리법인이라고 나옵니다"라고 지적했다.

이에 한 전 위원장은 "한국쓰리엠 같습니다. 한국쓰리엠. 거기 보면 영리법인으로 돼 있지 않습니까? 제가 보니까요. 제 딸 이름이 영리법인일 순 없죠"라고 반박했다.

이어 김영배 민주당 의원은 "2만 시간 봉사활동을 했다고 돼 있어요. 5년 동안 매일 10시간을 봉사를 해야 해요"라고 지적했고 한 전 위원장은 여기 본인이 아니라 'her organization(단체)'이 했다고 나옵니다. 이 단체가 전체 합쳐서 그랬다는 얘기죠"라고 말해 말문을 막히게 했다.

생뚱맞은 '이모' 에피소드도 당시 등장했다. 김남국 민주당 의원이 "이모와 논문을 썼느냐"고 질의했고 실은 이모가 아닌 이 모 교수, 외숙모였던 사실이 드러났다.

당시 민주당의 청문회 실수는 '개그 콘테스트' 같다는 혹평까지 받았다. 손혜원 전 의원은 "바보 같은 민주당, 한동훈에게 또 당했다"며 답답함을 호소했다.

이미나 한경닷컴 기자 help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