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D등급? 성과급 못 받겠네"…불만 터진 공공기관 직원들
최근 발표된 공공기관 경영평가 결과를 두고 국토교통부 산하 공공기관의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4년 만에 ‘미흡(D)’ 등급에서 벗어난 LH(한국토지주택공사)는 계속된 악재에도 이직이 다소 줄어들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낙제점을 받은 주택도시보증공사(HUG)와 한국철도공사(코레일)는 내부 불만이 쌓이고 있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LH는 지난해 공공기관 경영평가에서 ‘보통’에 해당하는 C등급을 받았다. 직전까지 3년 연속 D등급을 받았는데, 4수 만에 명예 회복에 성공한 것이다. 경영평가 결과에 따라 직원의 성과급 지급 여부가 결정된다. 이한준 사장이 “정부와 협의해 LH 특성을 반영한 재무구조 이행 시스템을 만들려 한다”고 언급하는 등 경영평가 회복에 나선 게 주효했다는 평가다.

LH는 3년 연속 D등급 평가로 2021년부터 직원이 성과급을 전혀 받지 못했다. 그 사이 공공주택 공급 확대를 비롯해 전세사기 피해주택 매입,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사업장 인수 등 위기 때마다 정부의 소방수 역할을 하며 업무가 가중됐다. 지난해 LH의 이직률은 남성 5.7%, 여성 3.5%로 다른 공기관보다 높았다. 이번 평가로 분위기가 바뀔 것이라는 기대가 내부에서 나오고 있다.

HUG는 2022년에 이어 지난해에도 D등급을 받았다. HUG는 PF 보증 확대 등 부동산 시장 회복 역할에 더해 전세사기 피해 지원 등 업무가 늘고 있다. 여기에 최근 ‘든든전세’를 통해 1만 가구 매입임대 공급 역할까지 떠맡았다. 연이은 경영평가 낙제점에 유병태 사장이 경고까지 받아 내부 분위기는 침체한 상황이다. 한 직원은 “역할은 계속 늘어나는데 그에 맞는 정성 평가는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4년 연속 낙제점(D-E-E-D)을 받은 코레일도 곤혹스러워하는 분위기다. 코레일은 안전과 부채 부문에서 낮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2022년 중대산업재해가 4건 발생했지만, 작년엔 한 건도 일어나지 않았다. 부채가 많다는 지적에 대해 억울한 측면이 있다는 게 내부 목소리다. 공공의 이익 차원에서 13년째 KTX 요금을 동결한 게 재무 불안으로 이어졌기 때문이다.

유오상/이인혁 기자 osy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