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칼럼] 경주의 기회, 2025 APEC
불국사·석굴암과 첨성대, 산 전체가 그대로 박물관인 남산, 산재한 천년 신라의 고분, 바다도 가까운 한국 역사·전통·문화의 1번지. 그러면서도 줄어드는 인구는 이제 24만6000명, 성장도 한계에 봉착한 중소도시. 경주 얘기다.

수출 한국의 ‘고도성장 후폭풍’에 휘말린 곳으로 경주 같은 도시도 잘 없다. 해외여행은 꿈도 못 꾸던 시절 한국의 관광·여행지는 거의 경주였다. 학생들의 수학여행뿐만 아니라 선남선녀의 신혼여행 1순위였다. 하지만 소득 수준이 오르고 개방이 가속화하면서 대표 관광도시의 위상은 조금씩 쇠락해갔다. 수학여행과 졸업여행은 점차 제주로 빠져나갔고 지금은 해외 출국이 일상화됐다. 경주를 찾는 일반 국민도 크게 줄었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엔저가 몰아치면서 이웃 나라 일본에 대거 손님을 빼앗겼다. 유네스코에 ‘천년고도’로 나란히 올라 있는 ‘일본의 경주’ 교토로 관광 가는 한국인도 적지 않다. 그동안 노력을 하지 않은 것은 아니다. 민관 공조로 황리단길을 정비하고, 쾌적한 한옥 숙박시설도 늘렸다. 엑스포대공원엔 IT로 옛 신라를 되살려냈고, 보문단지에도 활력을 불어넣었다. 하지만 퇴조하는 흐름을 되살리기엔 역부족이었다.

그런 경주에 기회가 찾아왔다. 내년 11월 한국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개최 도시로 선정된 것이다. 미국 중국 일본을 포함해 태평양을 둘러싼 21개국 정상과 관계 장관들, 경제사절단 등 고급 손님이 대거 몰려온다. 대형 국제행사로 세계적 홍보 효과가 대단할 것이다. 정부 재정 지원으로 곳곳의 관광명소와 거리가 새로 단장하고, 숙박업소·식당도 달라질 것이다. 초대형 국제행사를 치른 국내외 도시들의 경험에 비춰볼 때 시민의식도 한 단계 올라갈 것이다. 지방의 국제화라는 시험대도 소중하다. 서울 부산 인천 제주 같은 대도시와 차별화되는 스토리텔링으로 지방의 또 다른 매력을 뽐낼 기회다.

더욱이 2005년 부산에 이어 20년 만의 APEC이다. 정부 차원의 준비도 중요하지만 경주시가 한국 전통 문화유산을 전 세계에 잘 알려 나가는 계기로 활용하길 응원한다.

허원순 수석논설위원 huhw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