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마을] 구한말 조선 목격한 이화학당장의 편지
1893년 9월 12일 미국 샌프란시스코를 떠나 일본 요코하마로 향하는 배에 스물다섯 살 젊은 미국인 여성이 타고 있었다. 막 선교사가 된 룰루 프라이(1868~1921)였다. 그는 조선 최초의 여학교 이화학당에서 교사로 일하며 학생들을 온 마음으로 사랑하게 된다.

<정동의 봄>은 프라이가 한국으로 가는 선상에서 아버지에게 쓴 첫 편지로 시작해 그가 사망한 1921년까지 어머니와 동생 조지아를 포함한 친지들에게 쓴 편지 140여 통과 일기 등을 엮은 책이다. 편지는 1970년 프라이의 조카이자 조지아의 큰딸인 마이라 브래들리 부인이 이화여대에 기증했다.

1907년 이화학당 학당장이 된 프라이는 여성 고등교육의 필요성을 느끼고 1910년 대학과를 신설했다. 여성을 위한 대학은 조선에선 시기상조란 안팎의 반대를 무릅쓰고 신념을 굽히지 않은 결과였다. 프라이의 편지엔 학생들을 향한 애정이 묻어난다. 역사적 사건들도 담겼다. 청일전쟁과 을미사변, 러일전쟁, 을사늑약 등을 기록하며 “조선의 생활에 단조로운 것은 전혀 없다”고 표현했다.

책은 지극히 개인적인 기록이 어쩌면 가장 역사적일 수 있다는 점을 증명한다. 편지와 일기에 담긴 조선 말 소박하면서도 특별한 일상은 익숙한 역사를 새롭게 바라보는 기회가 된다.

신연수 기자 sy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