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산물 가격지수가 전반적인 작황 호조로 1년7개월 만에 최저치까지 떨어졌다. 때 이른 무더위가 찾아와 상추와 오이 등 일부 품목은 생육 부진과 수요 증가 등으로 오름세를 나타냈다.
이른 무더위에 상추·오이값 '꿈틀'
21일 팜에어·한경 농산물가격지수(KAPI)를 산출하는 가격 예측 시스템 테란에 따르면 전날 KAPI는 114.34로 한 달 전보다 22.9% 하락했다. KAPI는 2013~2019년 22개 농산물의 적정 평균 가격(100)을 기준으로 산출한다. 이번주 지수는 2022년 11월 26일(107.93) 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4월부터 온화한 날씨가 이어지며 상당수 품목의 산지 출하량이 늘어난 점이 가격 하향 안정화에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이번주에는 KAPI 구성 품목 22개 중 토마토(-32.55%)와 당근(-30.16%), 방울토마토(-29.38%) 등 13개 품목의 가격이 내렸다. 양배추는 전년 동월 대비 41.48%, 감자는 35.45% 하락했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토마토는 이번주 들어 기온이 급등하며 평상시보다 빨리 익는 현상이 일어나 출하량이 대폭 늘었다”고 말했다.

다만 상추(43.02%)와 오이(26.28%), 풋고추(16.63%) 등은 이번주 가격이 올랐다. 하우스에서 주로 재배하는 상추는 폭염에 취약해 여름철 가격이 급등하는 경향이 있다. 테란의 가격 예측 모델에 따르면 현재 ㎏당 2934원 수준인 상추값은 여름 내내 오름세를 이어가다가 10월 초 6603원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측됐다. 이 관계자는 “여름휴가철이 다가오며 육류 섭취가 늘면 상추 수요는 더욱 커질 것”이라며 “폭염에 이어 장마로 출하량이 줄면서 가격이 더 오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오이 역시 폭염으로 최근 출하되는 물량의 상품성이 다소 낮아졌다. 무더위가 지속되며 냉국 등 오이를 재료로 사용하는 수요가 증가한 점도 가격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오형주 기자 oh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