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
사진=게티이미지
뉴욕증시가 혼조세를 나타냈다. 인공지능(AI) 선두 주자 엔비디아가 하락세를 보이며 기술주 투자 열기는 다소 정체된 양상을 보였지만,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4거래일 연속 상승했다.

21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5.57포인트(0.04%) 오른 3만9150.33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8.55포인트(0.16%) 내린 5464.62에, 나스닥지수는 전장대비 32.23포인트(0.18%) 내린 1만7689.36에 거래를 마쳤다.

다우지수는 지난 19일 휴장일을 제외하고 이번주 모두 오름세를 유지했다. 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 모두 이번주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으나 2거래일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시장 참여자들의 시선은 이날도 엔비디아로 향했다. AI와 반도체 투자를 위한 기술주의 인기가 약간 주춤해졌지만, 본격적인 조정 장세가 나타날지에는 의구심을 나타내고 있다.

엔비디아 주가는 올해 들어 155% 가까이 상승세를 보였다. AI투자 열풍이 엔비디아로 집중된 만큼 주가가 전일에 이어 3%대 하락폭을 보인 점은 주가지수에 부담이 됐다. 주간 기준으로도 엔비디아는 8주 연속 오름세를 보이다 9주 만에 하락했다.

이날은 주가지수선물·주가지수옵션·개별주식옵션 등 주요 파생상품의 계약 만료일이 겹치는 이른바 '세 마녀의 날'이었다. 시장 전체 거래량은 급증했다. '세 마녀의 날'은 3월·6월·9월·12월의 셋째 주 금요일에 해당한다.

시장 참여자들은 금리인하 힌트가 될 만한 경제 둔화 조짐을 살피고 있다. 전미부동산중개인협회(NAR)에 따르면 5월 미국 기존주택 판매(계절조정치)는 전월대비 0.7% 감소한 연율 411만채로 집계됐다. 5월 기존주택 중간 가격은 전년 대비 5.8% 급등한 41만9300달러로 역대 최고치다.

콘퍼런스보드는 5월 미국의 경기선행지수가 전월 대비 0.5% 하락한 101.2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시장 전망치 0.3% 하락보다 악화한 수치다.

CME그룹의 페드와치툴에 따르면 오는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 금리를 25bp 인하 확률은 61.6%로 반영됐다. 9월 동결 확률은 32.3%를 나타냈다. 올해 12월 두 번째 금리인하 가능성은 45.1%로 높게 반영됐다.

신용현 한경닷컴 기자 yonghy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