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정부가 민수용 도시가스 요금 인상을 두고 고심 중이다.

23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와 기획재정부는 내달 1일부터 적용될 민수용 도시가스 요금의 인상 여부, 인상 폭 등에 대해 협의하고 있다.

가스공사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국제 에너지 위기 이후 원가의 80∼90% 수준에서 가스를 공급하고 있다. 이에 따른 민수용 도시가스 미수금은 13조5000억원에 달한다.

가스공사 입장에서는 차입금을 늘려 가스 도입을 해야 하는 셈이다. 가스공사의 차입금은 2021년 말 26조원에서 2023년 말 39조원으로 늘었다.

에너지 당국인 산업부는 한국가스공사의 재무 위기가 가중된 만큼 적어도 공급 원가에 준하는 수준의 인상이 필요하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서는 민수용 도시가스 요금이 10% 가량 인상돼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다만 기재부는 가스요금 인상이 물가 전반에 끼칠 영향을 고려, 보다 신중한 입장이다.

정부 관계자는 연합뉴스에 "민수용 도시가스는 아직 원가 아래 가격에 공급되고 있어 인상 필요성이 있지만, 에너지 요금은 인상 시 파급 효과가 커 이 점도 같이 고려해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정부는 앞서 3분기 전기요금을 동결했다. 에너지 요금을 인상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지만, 전기요금과 가스요금을 동시에 인상하기엔 부담이 있어 시기를 달리해 인상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던 바다.

특히 냉방으로 전기 사용량이 많아지는 여름철은 국민들이 전기요금 인상을 피부로 느끼는 정도가 크다. 이에 가스요금 인상 가능성에 관심이 모였다.

최연혜 가스공사 사장은 지난달 기자간담회에서 "취임 후 국내 천연가스 수급과 가격 안정에 초점을 두고 체질 개선에 주력했지만 아직까지 풀리지 않는 가장 큰 숙제는 미수금 해소"라며 "우리 공사는 다른 미수금을 갚는 비즈니스 모델도 전혀 없다 보니 요금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호소했다.

김수영 한경닷컴 기자 swimming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