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사 리포트 올해도 '매수 일색'…"팔아라" 단 2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증권사들이 올해 국내 기업에 대한 투자의견을 제시한 종목 보고서 대부분이 '매수' 의견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이달 20일 기준 올해 발행된 기업 보고서 8천662건 가운데 투자의견을 '매도'로 제시한 보고서는 단 2건(0.02%)에 불과했다.
사실상 매도 의견에 가까운 '비중 축소'는 4건(0.05%)이었다.
반면 '매수' 의견은 8천12건(92.5%)으로 압도적 비중을 차지했다. '보유'(Hold)는 636건(7.34%), '강력매수'는 8건(0.09%)으로 집계됐다.
올해 기업 분석 보고서를 발행한 국내 증권사 30곳 중 28곳(93.3%)은 투자의견을 매도로 제시한 보고서가 한 건도 없었다.
대형 증권사인 미래에셋증권, 한국투자증권, NH투자증권, 삼성증권, KB증권, 하나증권, 메리츠증권, 신한투자증권, 키움증권 등이 대표적이다.
매도 의견을 제시한 증권사는 한화투자증권, BNK투자증권 2곳(6.6%)이었고, 여기에 비중 축소 의견을 낸 유진투자증권 1곳을 더해도 3곳(10%)에 불과했다.
한화투자증권은 지난 2월 카카오뱅크 매도 의견을 냈다가 4월 '보유'로 투자 의견을 상향 조정했다. BNK투자증권은 지난달 한진칼에 대해 매도 의견을 냈다.
유진투자증권은 지난 1월부터 이달까지 네 차례에 걸쳐 에코프로비엠에 대한 비중 축소 의견을 제시했다.
반면 외국계 증권사는 같은 기간 대체로 10% 넘는 매도 의견을 제시했다.
금융투자협회 전자공시서비스에 따르면 골드만삭스증권 서울지점은 올해 제시한 투자 의견 중 매도가 16.7%였다. 매수와 보유 의견은 각각 48.2%, 35.2%였다.
이외에도 매도 의견 비중은 모건스탠리증권 서울지점이 16.4%, 메릴린치증권 서울지점 22.8%, 맥쿼리증권 9.1%, 노무라금융투자 15.6%, JP모건증권 13%였다.
국내 증권사들의 매수 편향 보고서는 매년 반복되는 해묵은 문제다.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7월 증권사 최고경영자들과 간담회를 갖고 올바른 리서치 문화 정착을 위한 증권업계의 자정 노력이 필요하다고 공개 지적하기도 했지만, 약 1년이 지난 지금도 관행 개선에는 별다른 진전이 없는 분위기다.
현실적인 원인 중 하나로 해당 기업 정보에 대한 접근 문제가 꼽힌다.
특히 국내 기업은 실적 가이던스(예상치)를 내는 곳이 거의 없어 가이던스를 산출해야 하는 애널리스트 입장에서는 기업과 척지기가 쉽지 않다.
국내 증권사의 비즈니스 모델도 한계점으로 꼽힌다.
소속 증권사 법인영업본부가 자사 애널리스트 보고서를 기반으로 국내외 기관 투자자 등에게 세일즈하는 환경이 대표적이다.
아울러 분석 대상이 되는 기업 대부분이 증권사 고객이라는 점도 부담이다. 증권사는 기업금융(IB), 신용공여, 기업공개(IPO) 등의 업무도 맡고 있다.
해결책으로는 리서치부서의 분리 독립, 보고서 제공 유료화, 애널리스트의 성과 평가 방식 개선 등이 제시된다.
(사진=연합뉴스)
김현경기자 khkkim@wowtv.co.kr
23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이달 20일 기준 올해 발행된 기업 보고서 8천662건 가운데 투자의견을 '매도'로 제시한 보고서는 단 2건(0.02%)에 불과했다.
사실상 매도 의견에 가까운 '비중 축소'는 4건(0.05%)이었다.
반면 '매수' 의견은 8천12건(92.5%)으로 압도적 비중을 차지했다. '보유'(Hold)는 636건(7.34%), '강력매수'는 8건(0.09%)으로 집계됐다.
올해 기업 분석 보고서를 발행한 국내 증권사 30곳 중 28곳(93.3%)은 투자의견을 매도로 제시한 보고서가 한 건도 없었다.
대형 증권사인 미래에셋증권, 한국투자증권, NH투자증권, 삼성증권, KB증권, 하나증권, 메리츠증권, 신한투자증권, 키움증권 등이 대표적이다.
매도 의견을 제시한 증권사는 한화투자증권, BNK투자증권 2곳(6.6%)이었고, 여기에 비중 축소 의견을 낸 유진투자증권 1곳을 더해도 3곳(10%)에 불과했다.
한화투자증권은 지난 2월 카카오뱅크 매도 의견을 냈다가 4월 '보유'로 투자 의견을 상향 조정했다. BNK투자증권은 지난달 한진칼에 대해 매도 의견을 냈다.
유진투자증권은 지난 1월부터 이달까지 네 차례에 걸쳐 에코프로비엠에 대한 비중 축소 의견을 제시했다.
반면 외국계 증권사는 같은 기간 대체로 10% 넘는 매도 의견을 제시했다.
금융투자협회 전자공시서비스에 따르면 골드만삭스증권 서울지점은 올해 제시한 투자 의견 중 매도가 16.7%였다. 매수와 보유 의견은 각각 48.2%, 35.2%였다.
이외에도 매도 의견 비중은 모건스탠리증권 서울지점이 16.4%, 메릴린치증권 서울지점 22.8%, 맥쿼리증권 9.1%, 노무라금융투자 15.6%, JP모건증권 13%였다.
국내 증권사들의 매수 편향 보고서는 매년 반복되는 해묵은 문제다.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7월 증권사 최고경영자들과 간담회를 갖고 올바른 리서치 문화 정착을 위한 증권업계의 자정 노력이 필요하다고 공개 지적하기도 했지만, 약 1년이 지난 지금도 관행 개선에는 별다른 진전이 없는 분위기다.
현실적인 원인 중 하나로 해당 기업 정보에 대한 접근 문제가 꼽힌다.
특히 국내 기업은 실적 가이던스(예상치)를 내는 곳이 거의 없어 가이던스를 산출해야 하는 애널리스트 입장에서는 기업과 척지기가 쉽지 않다.
국내 증권사의 비즈니스 모델도 한계점으로 꼽힌다.
소속 증권사 법인영업본부가 자사 애널리스트 보고서를 기반으로 국내외 기관 투자자 등에게 세일즈하는 환경이 대표적이다.
아울러 분석 대상이 되는 기업 대부분이 증권사 고객이라는 점도 부담이다. 증권사는 기업금융(IB), 신용공여, 기업공개(IPO) 등의 업무도 맡고 있다.
해결책으로는 리서치부서의 분리 독립, 보고서 제공 유료화, 애널리스트의 성과 평가 방식 개선 등이 제시된다.
(사진=연합뉴스)
김현경기자 khkkim@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