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마크 정부가 삼양식품 불닭볶음면 제품 3종 리콜을 명령한 이후 해외에서 불닭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리콜 사태가 오히려 불닭을 홍보하는 효과가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23일 구글 검색 트렌드에 따르면 이달 전 세계 ‘불닭’ 검색량은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검색량은 지난해 10월의 두 배, 작년 3월의 4배 수준이다. 특히 덴마크 리콜 발표 직후인 지난 12일 검색량이 최대치를 찍었다.

덴마크 정부는 11일 삼양식품의 핵불닭볶음면 3×스파이시, 핵불닭볶음면 2×스파이시, 불닭볶음탕면을 현지 시장에서 회수하도록 했다. 캡사이신 수치가 높아 급성 중독 위험이 있다는 게 이유였다. 덴마크의 리콜 명령 조치를 한 이후 BBC, AP통신 등 외신이 이를 앞다퉈 보도하면서 불닭은 화제의 중심이 됐다. BBC, 가디언 등의 기자들은 불닭을 직접 먹는 영상을 올리기도 했다.

삼양식품은 덴마크 정부의 캡사이신양 계산이 잘못됐다며 19일 덴마크 정부에 반박 의견서를 냈다. 덴마크 정부는 제품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캡사이신양을 계산했는데 액상 수프 중량만으로 캡사이신양을 계산해야 한다는 게 삼양식품의 주장이다. 불닭볶음면의 매운 정도를 나타내는 스코빌지수는 4400 정도인데 2×핵불닭은 8000, 3×핵불닭은 1만3000이다. 덴마크 수의식품청은 스코빌지수 1만3000인 3×핵불닭의 완제품 중량이 140g인 것을 감안하면 한 봉지에 113㎎의 캡사이신이 들어 있다고 했다.

전설리 기자 slj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