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WSJ '버킨백 경제학' 분석…부유층도 판매직원 환심사려 '선물공세'
다른 제품 많이 사야 '구매자격 고객' 판단…'끼워팔기' 불만 美고객 소송도
아무한테나 안파는 '버킨백'…사자마자 되팔면 가격 2배
럭셔리 브랜드 에르메스의 유명 가방인 '버킨백'을 둘러싼 일반적이지 않은 경제 법칙이 고객과 매장 직원 간의 일반적인 권력관계를 뒤집어 놓고 있다고 미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기다리는 것을 좀처럼 인내하지 못하는 부유층 쇼핑객들도 에르메스 매장에서만큼은 오랜 기간 대기하는 것을 감내한다고 이 매체는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버킨백의 기본모델인 검은색 '버킨 25' 백의 매장 가격은 세전 1만1천400달러지만, 구매자는 이 백을 구입하자마자 곧바로 2배가 넘는 2만3천 달러에 리셀러 업체에 넘길 수 있다.

프리베포터 등 주요 리셀러 업체는 가방을 매입하자마자 거의 곧바로 사회관계망서비스(SNS)나 라스베이거스의 팝업 매장을 통해 3만2천 달러에 판매한다.

이 같은 현상이 벌어지는 것은 희소한 버킨백을 손에 넣고 싶어 하는 부유층이 워낙 많은 탓에 돈 많은 쇼핑객이라 할지라도 매장에서 버킨백을 손에 넣기란 매우 복잡하고 어렵기 때문이다.

우선 버킨백을 구매하려는 고객은 먼저 매장의 판매 직원과 좋은 관계를 쌓아야 한다.

수많은 대기자 명단 중 누구에게 버킨백을 판매할지를 일차적으로 담당 점원이 결정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통상 구매자가 권력을 행사하는 매장 내 권력관계도 에르메스 매장에선 반대로 뒤바뀌기가 일쑤다.

에르메스 매장에서 상대에게 먼저 깍듯한 인사를 건네는 것은 직원이 아닌 구매자이며 세계에서 손꼽힐 만한 갑부 고객이 직원과 친해지기 위해 집에서 직접 구운 쿠키를 가져오기도 한다고 WSJ은 전했다.

일부 고객은 버킨백을 손에 넣기 위해 값비싼 비욘세 콘서트 티켓이나 호화 여행 상품권을 주거나 아예 현금 봉투를 건네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담당 점원과 좋은 관계를 쌓은 뒤에는 에르메스 매장에서 구매 이력을 쌓아야 한다.

실크 스카프, 시계 등 버킨백이 아닌 다른 에르메스 제품에 큰돈을 지출해야 비로소 버킨백을 구매할 '자격'을 갖췄다고 직원이 판단하기 때문이다.

버킨백을 정식 판매장에서 빨리 구매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는 에르메스에서 판매하는 값비싼 보석이나 가구 등에 막대한 돈을 지출하는 것이라고 명품가방 리셀러 업체 '매디슨 애비뉴 쿠튀르'의 주디 테일러 창업자는 말했다.

아무한테나 안파는 '버킨백'…사자마자 되팔면 가격 2배
판매가 이뤄지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버킨백이 프랑스 본사에서 개별 매장에 도착하면 매니저는 개별 판매 직원에게 가방을 배정하고, 각 직원은 저마다 관리하는 대기고객 명단 중 '구매 자격'을 갖춘 고객을 선별해 매니저의 판매 승인을 받는다.

구매자는 한 해 버킨백을 2개까지만 살 수 있는데 지난해 미국 마이애미 에르메스 점포의 한 직원은 한 고객에게 그보다 많은 버킨백을 판매했다가 해고되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고 WSJ은 소식통을 인용해 전했다.

정식 판매장에서 버킨백 하나를 구매할 수 있는 자격을 갖추기까지 들어가는 비용을 고려하면 가방 구매 후 곧바로 리셀러에 높은 값에 되파는 게 반드시 남는 장사는 아닐 수 있다.

일부 구매자는 버킨백의 경우 '색상 선택권'이 사실상 없기 때문에 자신의 마음에 드는 색상을 구매하기 위해 리셀러 마켓을 이용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때로는 구매자가 원치 않는 제품을 사야 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한 구매자는 8만7천500달러짜리 에르메스 카누를 산 뒤 버킨백 희귀 모델을 구입할 수 있었다고 한다.

미 캘리포니아의 소비자 2명은 지난 3월 에르메스의 이 같은 판매 방식이 시장지배력을 남용한 끼워팔기에 해당한다며 독점금지법 위반 소송을 제기하기도 했다.

사람들이 버킨백을 바라는 이유는 높은 가격과 희소성 탓에 부의 상징이 됐기 때문이다.

SNS에서는 연예인이나 유명 인사들이 버킨백을 들고 있는 장면의 사진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과도한 이목 끌기로 미국 대중의 입방아에 자주 오르내리는 유명 인플루언서 킴 카다시안의 경우 다양한 버킨백을 수집하는 것으로 유명하며, 크리스틴 라가르드 유럽중앙은행(ECB) 총재도 버킨백을 든 모습이 자주 촬영되는 인사 중 하나다.

WSJ은 "자신의 부를 과시하고 싶은 사람들에게 지위를 상징하기에 이보다 더 좋은 것은 없다"라고 평가했다.

한편 에르메스는 버킨백이 리셀러 시장에서 더 높은 가격에 판매되는 것을 막고자 다양한 방법을 강구하고 있지만 마땅한 해결책은 없는 상황이다.

에르메스는 올해 초 버킨백 가격을 20% 올렸는데, 당초 리셀러 업체들이 타격을 입을 것이란 관측과 달리 업체들은 별다른 손해 없이 가격 인상을 고스란히 구매 고객에게 전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에르메스로서는 그렇다고 버킨백 생산량을 대폭 늘리는 방안을 쉽게 선택할 수도 없다.

WSJ은 "버킨백 생산량 증가는 리셀러들이 되팔기에 나설 유인을 없애겠지만, 동시에 버킨백의 가진 신비로움도 파괴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