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 독버섯 섭취 주의 당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산림청은 여름철 야생 버섯의 무분별한 섭취가 중독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24일 밝혔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조사에 따르면 최근 10년간(2014~2023년) 야생 버섯으로 인한 중독사고는 총 5건이며 이에 따라 발생한 환자 수는 38명에 이른다.
1건당 평균 환자 수는 7.6명이었으며 야생 버섯을 가족, 지인과 나눠 먹어 피해가 확산한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버섯 2215종 가운데 먹을 수 있는 것은 일부이며 대다수는 식용이 불분명하거나 독이 있다.
산림청 국립수목원은 산림생물표본관(KH)에 소장한 3만여 점의 표본을 분석한 결과 6~8월에 많이 발생하는 독버섯은 △우산 광대버섯 △혹깔때기버섯 △맑은애주름버섯 △노란 개암버섯 △좀벌집구멍장이버섯 △흑자색미친그물버섯 △독우산광대버섯 △큰주머니광대버섯 △마귀광대버섯 등으로 조사됐다.
독버섯은 비슷한 모습의 식용버섯과 동시에 자라는 경우도 많아 쉽게 구별하기 어렵다.
야생 버섯을 먹고 아무 이상이 없었다고 해도 같은 장소에서 발생한 버섯이 안전하다고 할 수 없다.
온도와 습도가 높은 여름철에는 다른 오염균으로 인해 추가적인 중독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민간 속설에만 의존해 야생 버섯의 식용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것 또한 위험하다.
대부분의 민간 속설은 과학적 근거가 없으며, 독버섯 종류는 매우 다양해 하나의 기준으로 쉽게 구분할 수 없다.
따라서 중독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야생에서 채취한 버섯은 먹지 않는 것이 좋다.
이미 섭취해 증상이 발생했다면 빨리 토해내고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 섭취한 독버섯을 가지고 즉시 병원을 찾아야 한다.
산림청 관계자는 “독버섯은 자생지의 발생환경 및 성장단계에 따라 다양한 형태, 색깔을 띨 뿐 아니라 식용버섯과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전문가가 아닌 이상 구분하기 매우 어렵다”며 “농가에서 생산한 믿을 수 있고 신선한 재배 버섯을 이용하는 것이 버섯을 안전하게 즐기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말했다.
대전=임호범 기자
식품의약품안전처 조사에 따르면 최근 10년간(2014~2023년) 야생 버섯으로 인한 중독사고는 총 5건이며 이에 따라 발생한 환자 수는 38명에 이른다.
1건당 평균 환자 수는 7.6명이었으며 야생 버섯을 가족, 지인과 나눠 먹어 피해가 확산한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버섯 2215종 가운데 먹을 수 있는 것은 일부이며 대다수는 식용이 불분명하거나 독이 있다.
산림청 국립수목원은 산림생물표본관(KH)에 소장한 3만여 점의 표본을 분석한 결과 6~8월에 많이 발생하는 독버섯은 △우산 광대버섯 △혹깔때기버섯 △맑은애주름버섯 △노란 개암버섯 △좀벌집구멍장이버섯 △흑자색미친그물버섯 △독우산광대버섯 △큰주머니광대버섯 △마귀광대버섯 등으로 조사됐다.
독버섯은 비슷한 모습의 식용버섯과 동시에 자라는 경우도 많아 쉽게 구별하기 어렵다.
야생 버섯을 먹고 아무 이상이 없었다고 해도 같은 장소에서 발생한 버섯이 안전하다고 할 수 없다.
온도와 습도가 높은 여름철에는 다른 오염균으로 인해 추가적인 중독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민간 속설에만 의존해 야생 버섯의 식용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것 또한 위험하다.
대부분의 민간 속설은 과학적 근거가 없으며, 독버섯 종류는 매우 다양해 하나의 기준으로 쉽게 구분할 수 없다.
따라서 중독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야생에서 채취한 버섯은 먹지 않는 것이 좋다.
이미 섭취해 증상이 발생했다면 빨리 토해내고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 섭취한 독버섯을 가지고 즉시 병원을 찾아야 한다.
산림청 관계자는 “독버섯은 자생지의 발생환경 및 성장단계에 따라 다양한 형태, 색깔을 띨 뿐 아니라 식용버섯과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전문가가 아닌 이상 구분하기 매우 어렵다”며 “농가에서 생산한 믿을 수 있고 신선한 재배 버섯을 이용하는 것이 버섯을 안전하게 즐기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말했다.
대전=임호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