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과러', 中 1분기 복권 판매액 28조원 중 26% 차지…전년보다 81% 증가
'주머니사정 팍팍' 中 MZ세대가 푹빠진 즉석복권 동나버렸네
중국 경제 둔화와 취업난 속에서 젊은이들이 복권 구매에 열을 올리는 가운데 소액 즉석 복권 '과과러'(刮刮乐)가 동이 났다고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24일 보도했다.

중국 재정부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중국 복권 판매액은 1천495억위안(약 28조4천800억원)을 넘어섰다.

전년 동기대비 19.7% 증가한 규모다.

그중 과과러 판매가 26.1%를 차지했는데, 전년보다 81.4% 늘어난 것이다.

과과러는 종류별로 장당 10위안(약 1천900원), 20위안(약 3천800원), 30위안(약 5천700원)짜리의 소액 복권이다.

전자상거래 분야에서 일하는 미셸 장(24) 씨는 경제 둔화 속 스트레스 해소와 재미를 위해 매주말 과과러를 산다.

그는 과과러 구매에 20위안(약 3천800원)을 투자해 500위안(약 9만5천원)을 벌어들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광둥성 광저우의 많은 복권 판매소에서 과과러가 동이 나 살 수가 없었다.

안후이성에 사는 교사 멘 위셴(22) 씨도 2∼3주마다 과과러를 사며 소소한 즐거움을 누렸지만 요즘에는 과과러의 '희소성' 탓에 쉽게 살 수가 없다.

SCMP는 "이 같은 현상은 지난 4월부터 베이징과 저장성, 장쑤성 등지에서도 벌어지고 있다"며 "많은 젊은이가 과과러를 쉽게 돈을 벌 수 있는 지름길로 여긴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중국 재정부는 과과러가 동이 난 복권 판매소의 수를 알려달라는 정보 공개 요청에 응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자오시윈 인민대 교수는 SCMP에 "과과러는 비싸지 않고 상금 역시도 크지 않다"며 "그것은 사람들을 행복하게 한다.

오락거리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경제적 이유로 스트레스 경감을 위해 과과러를 사는 이들이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SCMP는 "복권으로 만든 꽃다발을 포함해 선물로도 사용되고 소셜미디어에 자주 등장하면서 최근 몇 년간 복권은 젊은이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고 있다"고 전했다.

중국중앙(CC)TV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중국 복권 산업은 크게 성장했고 특히 작년 복권 관련 회사는 전년보다 4천512개 증가해 10년 만에 최대 성장률을 보였다.

올해 1∼4월 2천105개의 복권 관련 회사가 신규 등록했고 이는 전년보다 158.92% 늘어난 규모다.

중국 전역에는 인쇄, 유통, 소매 등 공급망 전체를 통해 1만4천700개의 복권 관련 회사가 등록돼 있다.

그러나 이달 들어 소셜미디어에서는 일부 복권 판매소가 과과러 재고 부족으로 매출 감소와 운영의 어려움에 처했다는 사연이 올라오고 있다고 SCMP는 전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