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용 부회장, 타사 겨냥 "고객 현혹" "껌팔듯 장사" 원색 발언
미래운용의 경쟁사 저격…'커버드콜 ETF' 업계 신경전 수면위로
미래에셋자산운용이 나스닥100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초단기 커버드콜 상장지수펀드(ETF)를 출시하면서 경쟁사들을 겨냥한 원색적 발언을 해 운용사 간 갈등이 격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최근 ETF 시장에서 월분배형 상품을 둘러싼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빚어진 물밑 신경전이 수면 위로 올라온 셈이다.

이준용 미래에셋운용 대표이사 부회장은 24일 을지로 미래에셋센터원빌딩에서 열린 기념 기자간담회에서 환영사를 하며 'TIGER 미국나스닥100+15%프리미엄초단기'를 "월분배형 ETF의 종지부를 찍는 상품"이라고 소개했다.

이어 "요즘 월 분배율을 높이기 위해 언더라인(기초자산)을 'TOP7'이나 엔비디아를 추종하는 몇몇 종목 등으로 바스켓을 짜고 나스닥 옵션을 파는 형태의 상품들이 나오고 있다"며 "고객들을 현혹하기는 좋다"고 말했다.

이는 사실상 삼성자산운용의 'KODEX 미국AI테크TOP10+15%프리미엄', 한국투자신탁운용의 'ACE 미국빅테크7+ 15%프리미엄분배(합성)' ETF 등을 겨냥한 것으로 해석된다.

삼성운용과 한투운용의 ETF는 미국 인공지능(AI) 기업 또는 빅테크 기업의 주가를 각각 추종하면서 나스닥100 콜옵션을 매도한다.

연 15% 수준의 분배금 지급을 목표로 만기가 짧은 옵션을 매도하는 전략을 활용한다는 점에서 이번 미래에셋운용 상품과 비슷하지만, 기초자산으로 미래에셋은 지수인 나스닥100을, 삼성과 한투운용은 일부 종목을 택했다는 점에서는 차이점도 있다.

이 부회장은 삼성·한투운용처럼 일부 종목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월분배형 ETF에 대해 "월 분배금이 높게 나오지만 모든 상품은 장점도 있고 단점도 있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지금 시장이 좋으니까 하방 리스크에 대한 걱정들 투자자들이 많이 안 하는데 하방 리스크는 분명히 존재한다.

포트폴리오를 압축한다는 건 변동성이 크다는 얘기고, 변동성이 크다는 건 시장이 안 좋을 때 훨씬 많이 손실을 낼 수 있다는 것"이라며 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ETF가 장기투자에 적합하다고 말했다.

미래에셋운용은 합성형으로 운용되는 ETF의 단점을 지적하며 자사가 선택한 실물형의 장점을 강조하기도 했다.

한투운용의 '15%프리미엄분배' 시리즈는 모두 합성형이다.

이 부회장은 환영사 말미에 삼성운용을 겨냥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는 원색적인 발언도 내놓았다.

그는 "ETF 시장이 매우 성장했고 경쟁사들도 활발히 경쟁하는데 마지막으로 말씀드리고 싶은 건 미래에셋은 라디오 광고를 하거나 그런 식으로 껌 팔듯이 장사 안 할 겁니다"라며 "투자자들이 수익을 봐서 미래에셋을 신뢰할 수 있게 하겠다"고 말했다.

삼성운용은 최근 라디오를 비롯한 각종 매체를 통해 자사 브랜드 'KODEX ETF' 광고를 활발히 하고 있다.

이 부회장의 발언에 경쟁사들은 별도의 입장을 내진 않았다.

지난해 11월 최창훈 미래에셋운용 대표이사와 함께 선임된 이 부회장은 미래에셋의 'TIGER' ETF 브랜드를 강화한 공을 인정받아 지난해 부회장으로 승진했다.

미래에셋운용 사령탑의 한 축을 맡은 뒤 공식 석상에 모습을 드러낸 건 이번이 처음이다.

업계에서는 지난해 이차전지 소재 ETF, 미국배당다우존스 ETF로 운용사들이 한바탕 수수료 대전을 치른 데 이어 갈등의 불씨가 월배당형 ETF로 옮겨온 것으로 보고 있다.

2022년 6월 국내 처음 등장한 월배당형 ETF는 매달 현금흐름을 누릴 수 있다는 장점으로 투자자들을 끌어모으며 순자산 규모를 급격히 불렸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