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든 데스'(돌연사) 위기에 놓인 SK그룹이 최근 잇따라 실적이 부진한 관계사의 수장을 교체하고 나선 가운데 최태원 회장이 이 같은 인사에 대해 속도 조절을 주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복합 위기' SK, 잇단 수장 교체에…최태원 '속도조절' 주문
정기 인사를 5∼6개월가량 남겨둔 상태에서 이례적으로 최고경영자(CEO) 교체가 잇따르며 일부 CEO들이 불명예 퇴진하는 것으로 비치는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24일 재계에 따르면 최 회장은 최근 사촌 동생인 최창원 SK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에게 CEO들이 연말 인사에서 스스로 물러날 수 있도록 속도 조절을 하라는 취지로 지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룹 전반의 방만한 투자와 사업 비효율을 점검하는 과정에서 불가피한 조치이기는 하지만, CEO들이 연말 인사에서 '용퇴'할 수 있도록 길을 열어주자는 취지로 풀이된다.

복수의 SK 관계자는 "속도 조절할 필요가 있다는 얘기가 있었던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앞서 SK에코플랜트에서는 박경일 사장이 물러나며 김형근 SK E&S 재무부문장이 대체 투입됐고, 그간 방만한 투자의 대표적인 예로 꼽혀온 SK스퀘어에서는 박성하 사장이 해임 통보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에는 실적 부진의 늪에 빠진 SK온에서 성민석 최고사업책임자(CCO·부사장)가 작년 8월 영입된 지 10개월 만에 보직 해임되기도 했다.

성 부사장은 포드와 한온시스템 등을 거친 자동차업계 전문가로 아직 계약 기간도 남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그룹 안팎에서는 CEO 교체와 임원 축소 등의 후속 조치가 잇따를 것으로 예상하기도 했다.

다만 이사회도 열리지 않은 상태에서 박성하 사장의 퇴진이 기정사실화돼 외부에 알려진 데다, 임원 대규모 감축 등의 소문이 돌며 내부적으로도 임원급을 비롯한 구성원들의 동요가 컸던 것으로 알려졌다.

재계 관계자는 "연말 인사까지 몇 달 남지 않은 상황에서 굳이 수시 인사를 해 이목을 집중시킬 필요는 없다는 얘기가 있었던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다른 재계 관계자는 "SK가 이례적으로 연중에 CEO 교체에 나선 것은 최창원 의장의 '실용주의' 경영 철학과도 관련이 있다"며 "최 의장이 평소에도 '그룹 내 CEO들이 너무 많고 하는 일에 비해 연봉도 너무 높다'는 얘기를 해 온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복합 위기' SK, 잇단 수장 교체에…최태원 '속도조절' 주문
일각에서는 1년 9개월 만에 현업으로 복귀한 이석희 SK온 사장이 흑자 달성 시까지 연봉의 20%를 자진 반납하기로 한 것도 이 같은 분위기와 관련이 있다는 얘기도 나온다.

재계 관계자는 "물론 이 사장이 스스로 연봉을 반납하겠다는 의지를 밝히기는 했지만, 그 배경에는 최 의장의 의중도 반영된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최근 CEO 후속 교체설 등이 잇따르자 최 의장도 내부적으로 인사가 계속 이어지지는 않을 것이라는 취지로 얘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룹 전반의 리밸런싱(구조조정)이 시급한 만큼 사업 재편에 보다 집중하기 위한 취지로 풀이된다.

이에 대해 SK 관계자는 "지금까지의 CEO 인사도 모두 최 회장의 뜻대로 이뤄진 것"이라며 "몇몇 인사 이후 내부적으로 각종 추측이 쏟아지고 있지만 일부는 사실과 다르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