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울산지역 'KTX-이음' 정차역 유치 경쟁
서울과 부산을 잇는 중앙선 준고속열차 ‘KTX-이음’의 정차역을 놓고 울산과 부산 지역 기초자치단체들의 유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24일 코레일에 따르면 KTX-이음은 2021년 1월 중앙선 노선을 따라 1단계 구간(청량리~안동)을 개통해 운행 중이며 올해 말 안동~영천 구간이 완공되면 울산, 부산을 지나는 동해선과 연결된다. 서울에서 부산 종점까지 가는 데 약 3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국토교통부는 오는 10월께 정차역을 최종적으로 확정할 계획이다.

울산에서는 북구와 울주군, 부산에서는 해운대구, 기장군, 동래구 등이 정차역 유치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울산 내에서는 울산~부산 간 동해선 광역전철의 시·종착역인 남구 태화강역이 가장 유력한 후보로 꼽히는 가운데, 동해선 전철역을 보유한 북구와 울주군이 추가 정차역 유치를 위해 경쟁 중이다.

울산 북구는 북울산역의 경제성과 정책적 타당성을 내세우고 있다. 철로와 역사 등이 확보돼 있어 추가 건설 비용이 들지 않고, 광역전철 연장 운행 등으로 장래 교통 수요 증가가 예상돼 경제적·정책적 타당성이 충분하다는 주장이다. 박천동 북구청장은 “민간 차량 공유 기업 쏘카의 차량 빅데이터 분석 결과, 북울산역 정차 시 연간 42만4000명이 이용할 것으로 전망됐다”며 “인근 경주권을 감안하면 이용 수요는 충분하다”고 자신했다.

울주군은 남창역 역시 추가 건설 비용 없이 정차할 수 있는 점을 앞세웠다. 이순걸 울주군수는 “온산공단에 에쓰오일 샤힌프로젝트 등 대규모 프로젝트가 추진돼 앞으로 유동 인구가 급격히 늘어날 것”이라며 “KTX-이음의 남창역 정차는 울주군 남부권 신도시 개발과 지역 발전의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부산 기장군은 전 군민이 참여하는 유치 운동을 펼치고 있다. 정종복 기장군수는 “KTX-이음 정차역으로 지정되면 정관·일광·장안 신도시 성장에 따른 교통 수요에 대응할 수 있고, 부산·울산·경남 광역철도와 연계한 교통 순환망이 구축돼 부산 도심 접근성이 향상될 것”이라고 말했다.

해운대구는 해운대해수욕장과 핵심 전시시설인 벡스코 등 관광시설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신해운대역과 센텀역 두 곳의 정차를 요구하고 있다.

일부 교통 전문가는 “무리하게 정차역을 많이 두면 역 간 거리가 지나치게 짧아져 준고속열차 취지에 어긋난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해당 지자체들은 “당장의 경제성보다 국토 균형 발전과 미래 교통 중심 도시로의 발전 가능성 등에 무게를 두고 정차역을 결정해야 할 것”이라며 강도 높은 유치 경쟁을 예고했다.

울산=하인식 기자 ha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