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루에 위치한 앵글로 아메리칸의 켈라베코 구리광산 조감도.사진=로이터
페루에 위치한 앵글로 아메리칸의 켈라베코 구리광산 조감도.사진=로이터
세계 구리 광산의 절반 이상이 ‘가뭄 리스크’에 노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철광석, 리튬, 코발트 등 다른 주요 금속 원자재도 이상기후로 인한 공급 차질이 우려된다.

국제금융센터(KCIF)는 24일 발간한 보고서를 통해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상 이변이 국제 원자재 전반의 수급에 악영향을 초래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센터는 글로벌 컨설팅기업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PwC) 자료를 인용해 2050년까지 전 세계 구리 광산의 54%와 리튬·코발트 광산의 74%가 가뭄으로 생산량이 줄어들 것이라고 내다봤다. 물은 광물 원석을 분쇄하거나 불순물을 분리하고, 장비를 세척하는 용도로 쓰인다. 맥킨지는 “구리, 금, 철광석, 아연은 (광산의) 30~50%가 수자원이 충분하지 못한 지역에 있어 가뭄에 특히 취약하다”고 지적했다.

세계 구리의 30% 이상(2020년 기준)을 생산하는 칠레는 이미 극심한 가뭄으로 타격을 받고 있다. 칠레 국영 광산기업 코델코는 지난해 물 부족 등의 여파로 25년 만에 가장 적은 132만5000t의 구리를 생산했다.

세계 최대 구리 매장지 15년째 물부족…"채굴 못하면 가격 4배 뛸 수도"

세계 구리광산 54% '가뭄 쇼크'
국제금융센터(KCIF)는 24일 “일부 국가에 대한 생산 의존도가 높은 광산 품목들은 이상기후로 인해 글로벌 공급 차질 위험에 노출될 우려가 있다”고 진단했다.

한국자원정보서비스(KOMIS)에 따르면 구리 매장량의 47%가 칠레 페루 콩고 등 3개국에 몰려 있다. 철광석은 74%가 중국 호주 브라질에, 보크사이트는 80.8%가 기니 중국 브라질 등 3개국에 집중돼 있다. 특히 구리 수요는 최근 인공지능(AI) 열풍에 따라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어 공급 차질이 빚어지면 산업 전반에 타격이 클 전망이다. 세계적인 인프라 자산운용사 맥쿼리그룹은 AI 데이터센터 급증으로 구리 수요가 2030년까지 연간 200만t 늘어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구리는 데이터센터와 전력망 건설에 모두 사용된다.

칠레 최대 구리·리튬 매장지인 북부 안토파가스타주는 물 부족으로 생산량을 늘리지 못하고 있는 대표 지역이다. 로이터통신은 최근 지역 광산기업인 안토파가스타PLC가 15년째 지속된 가뭄으로 저수지 물이 고갈돼 용수 공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전했다. 올해 1분기 안토파가스타PLC 구리 생산량은 전년 동기 대비 11% 감소했다.

수자원이 한정된 만큼 지역사회와도 용수로 인한 갈등을 겪고 있다. 안토파가스타PLC와 호주 광산업체 BHP 등은 2022년 칠레 국방위원회(CDE)로부터 환경오염 혐의로 고소당했다. CDE는 채굴업체들이 규정을 넘어서는 용량의 용수를 추출해 지역 생태계와 원주민 공동체에 심각한 피해를 줬다고 주장했다.

해수 담수화 시설은 이런 문제를 풀 방안으로 거론된다. 다만 투자 규모가 크고 오랜 시간이 걸리는 만큼 당장 용수 문제를 해결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평가다.

구리 공급이 구조적으로 제한되면서 수년 내 구리 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골드만삭스는 내년 평균 구리 가격을 t당 1만5000달러로 내다봤다. 헤지펀드 앙두앙캐피털의 피에르 앙두앙 창립자는 세계적인 구리 공급 부족으로 2028년 구리 가격이 t당 4만달러까지 오를 수 있다고 분석했다. 구리는 지난달 21일 런던금속거래소(LME)에서 t당 1만857달러에 거래되며 사상 최고 가격을 경신한 뒤 지난 21일 9563달러로 떨어졌다.

폭염으로 냉방용 전력 수요가 큰 폭으로 늘어나면서 석탄과 천연가스 등 화석연료 수요도 증가할 전망이다. 국제금융센터는 “유럽은 여름철 늘어나는 전력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화력발전 가동 확대가 불가피한 상황”이라며 “태국 인도 방글라데시 등 아시아 국가들은 전력 생산용 천연가스 수요가 증가했다”고 밝혔다.

김인엽 기자 inside@hankyung.com